[주간동아 7월 14일 / N.694]
보수의 성공을 위한 고언
대한민국에 보수정권이 등장했다고 한다. 그런데 등장한지 얼마 되지도 않아 보수정권이 위기에 처했다고 한다. 과연 그럴까? 이명박 정권은 과연 보수정권인가? 만약 위기에 처했다면 그 위기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대한민국 보수우파의 위기는 진보좌파의 공격에서 비롯된 게 아니다. 촛불데모 때문에 보수우파의 위기가 시작된 것도, 노 전 대통령의 투신 때문에 보수우파의 위기가 심화된 것도 아니다. 그러면 무엇 때문에 보수정권이 위기라는 말인가? 의외로 그 답은 간단하다. 진정한 자기 정체성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도대체 무엇을 위한 보수인가? 어떠한 가치를 위한 보수인가? 왜 나는 보수가 되지 않으면 안 되는가? 이런 것들에 대한 철저한 자기성찰과 신념과 철학이 부족한데서 시작되었다.
대한민국 보수에는 [정치적 이익보수]는 많지만 [철학적 가치보수]는 적다. 이것이 우리나라 보수우파위기의 진정한 본질이다. 정치적 이익 내지 편의 때문에 보수로 행세하는 소위 [거짓 보수]는 많다. 그러나 보수가 지향해야 할 가치와 원칙을 위해 몸을 던지는 [진정 보수]는 적다. 왜 그럴까? 아직 가치와 철학으로서의 보수, 사상으로서의 보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현실질서에서 이익을 보기 때문에 현실질서가 유지되는 것을 원할 뿐이다. 현실질서가 왜 [가치 있는 질서]인지, 나라발전을 위해 그 가치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 깊은 확신을 갖고 [행동하는 보수]가 의외로 적기 때문이다.
보수우파는 원래 어떠한 가치를 믿는 사람들일까? 우선 보수우파는 [자유와 평등]이 모두 중요하다고 보지만, 둘 중에서 자유를 더 중시한다. 자유가 인간생명의 본질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또 평등을 자유보다 중시하면 자유도 평등도 다 잃기 쉽다고 보기 때문이다. 사회주의역사의 실패가 이를 증명하고 있지 않은가. 둘째, 보수우파는 [시장과 정부]가 다 중요하지만 정부보다 시장을 더 강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인류발전의 원동력은 개인의 창의와 시장의 역동성에서 온다고 믿기 때문이다. 정부역할은 시장 질서를 세우고 시장실패를 보완하는 수준이 적절하다고 본다.
셋째, 보수우파는 [법치주의]를 중요시 하는 사람들이다. 법치주의란 개인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국가권력을 견제하는 원칙이다. 인간의 존엄과 자유, 그리고 시장의 역동성을 위해선 사적소유권의 확립, 기본적 인권 보장 등 법치주의가 필수적이라고 본다. 넷째, 보수우파는 [세계화]를 지향한다. 세계화에는 위험도 있지만 그 이익이 훨씬 더 크다고 믿기 때문이다. 지난 250년간 인류의 발전과 지난 60년간 대한민국의 도약은 지구적 규모의 시장 확대 즉 세계화에서 왔다고 생각한다. 끝으로 보수우파는 [점진적 변화]가 [급격한 변혁]보다 역사발전에 더 기여한다고 믿는다. 어느 시대나 역사발전을 위해 변화와 개혁은 필수적이다. 문제는 그 방식과 속도에 있다. 보수우파는 역사와 전통 속에 담긴 선조의 지혜와 경험을 중시하기 때문에 급격한 변혁과 단절을 우려한다.
이처럼 보수우파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들, 즉 [자유-시장-법치-세계-진화] 등의 주장과 가치들은 보수우파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가치관일까? 자기들 이익을 위해 주장하는 것인가? 물론 아니다! 이러한 가치와 질서는 국가발전과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이익이 되기 때문에 지지하는 것이다. [자유-시장-법치-세계-진화]라는 가치와 질서가 잘 서야, 개인의 자아실현도 국가공동체의 발전도 가능하다고 믿기 때문에 지지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철학과 신념을 가진 사람들이 진정한 보수우파다. 자신의 이익과 편의를 위해 보수적 가치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사이비 보수]에 불과하다. 공동체구성원 모두의 이익을 위해 보수적 가치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바로 [진정한 보수]인 것이다.
그런데 보수가 추구해야 할 [자유-시장-법치-세계-진화]라는 가치와 질서는 미완성의 상태이다. 끊임없이 개선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가치와 질서이다. 개개인을 보다 자유롭게 하기 위해 , 시장기능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 법치를 바로 세우기 위해 , 세계화의 이익을 높이기 위해 , 끊임없이 변화하고 개혁해 나가야 한다. 따라서 기존 질서에 안주하고 기득권만 지키려는 사람들은 [사이비 보수]일 뿐이다. 끊임없이 보수우파적 가치와 질서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자기반성하고 성찰하고 개혁하는 사람들만이 [진정한 보수]이다.
우리나라 보수우파의 위기는 바로 사이비 보수우파가 많고 진정한 보수우파가 적다는 데 있다. 현실에 안주하고 기득권에 만족하는 보수우파는 많지만 보수적 가치의 발전과 질서의 개혁을 위해 철학과 신념을 갖고 헌신하는 보수우파는 너무 적다.
요즘 소통과 중도(中道)를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소통과 중도를 이야기하려면 반드시 먼저 할 일이 있다. 보수우파든 진보좌파든 각자 자기정체성을 먼저 찾아야 한다. 자기의 주장이 무엇이고, 자기가 지향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무엇을 위한 보수이고 무엇을 위한 진보인지를 스스로에게 먼저 물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이 왜 우리나라 국리민복과 국가발전에 중요한지, 대한민국 선진화와 통일에 어떠한 기여를 할 것인지를 자문해 봐야 한다. 그래서 자기주장과 철학을 먼저 세워야 한다.
자기주장과 철학이 아직 정리되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는 진정한 소통은 불가능하다. 만일 진보든 보수든 사이비들이 많다고 하면, 그들 사이에 무슨 의미 있는 대화와 소통이 가능하겠는가? 그리고 사이비 보수와 사이비 진보사이에 중도가 무슨 의미를 가지겠는가? 과연 진정한 중도가 가능하겠는가? 지금은 보수건 진보건 무엇보다 먼저 철저한 자기반성과 자기성찰을 할 시기라고 생각한다. 거울 앞에 서서 각자의 모습부터 들여다 볼 때이다.
번호 |
제목 |
날짜 |
---|---|---|
625 | [강천석] 이명박·이회창 연대설과 민주당의 고립 | 09-07-21 |
624 | [이인호]지원(支援) 취소, 재단 탓 말라 | 09-07-21 |
623 | [이창원] 왜 다시 '처칠'인가 | 09-07-16 |
622 | [김영봉] 비정규직 보호법의 가면을 벗겨라 | 09-07-13 |
621 | [주간동아] 보수의 성공을 위한 고언 (09.07.14) | 09-07-09 |
620 | [조영기] 북(北) 미사일, 누구 돈인가 | 09-07-07 |
619 | [조영기] 실무회담 교착, 기로에 선 개성공단 | 09-07-06 |
618 | [김영봉] '유괴범'에게 몸값을 지불한 사람들 | 09-07-01 |
617 | [주간조선] '15년 안에 선진국 못 되면 우린 가망 없다' | 09-06-29 |
616 | [중앙여고 강연] 세계와 나 | 09-06-29 |
615 | [강천석] 중도 강화론이 진짜 정권의 보약(補藥) 될까 | 09-06-29 |
614 | [김영봉] 사교육은 평준화 정책이 키웠다 - 세계최고 교육열 규제로 잡지못해(순기.. | 09-06-29 |
613 | [손기섭]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과 일본의 흥분 | 09-06-26 |
612 | [이인호] 의견 배척하는 문화 사라져야 한다 | 09-06-23 |
611 | [이인호] 교육의 큰 틀을 생각하자 | 09-06-22 |
610 | [유호열] 일(日)언론만큼 집요했으면 | 09-06-16 |
609 | [김진현] 대한민국의 ‘자유’ | 09-06-16 |
608 | [김용호] 한나라당, 리더십·소통 문제 해결하라 | 09-06-10 |
607 | [송종환] 북한 체제의 장래 전망과 한국의 선택 | 09-06-10 |
606 | KBS.대한민국 길을 묻다 (강연원고) | 09-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