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선진화를 위한 10대 과제시리즈(1)- '대한민국, 선진국 되려면?'
 
2008-10-31 15:18:19

 

 

1: 문제의 제기 - 대한민국이 선진국 되려면?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되려면 크게 4가지 분야의 국가정책을 바로 세워야 한다. 첫째 [국가의 기본]을 바로 세워야 한다. 둘째는 동북아구상과 세계전략을 가져야 한다. 셋째는 新 경제발전체제를 세워야 한다. 넷째는 사회통합과 국민통합의 정책이 있어야 한다.

             역사관·헌법위상·국가리더십의 바로 세우기

 첫째분야는 [국가의 기본]을 바로세우는 분야이다. 크게 보아 세 가지 시급한 국정과제가 있다. 

 하나는 歷史觀을 바로 세우는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에게는 대한민국은 친일파와 민족분열주의자들이 세운 나라라는 잘못된 역사가 가르쳐지고 있다. 대한민국의 건국이 잘못되었고 대한민국의 역사는 정의가 실패한 역사라고 청소년들이 배우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대한민국의 정통성과 정당성을  정면으로 부정하고 공격하는 [反대한민국의 역사관]이 공공연히 우리의 차세대들에게 가르쳐지고 있다. 이것을 바로 잡지 않으면 안 된다. 어느 나라 역사에도 明과 暗이 있다. 과거의 잘못은 바로 잡으면서 과거의 성공을 계승하려는 [발전적 계승의 균형사관]을 세워야 한다. 일방적으로 과거를 전면 부정하고 무조건 공격하는 [자학적(自虐的) 역사관]은 史實과도 다를 뿐 아니라, 자해(自害)이고 자기부정이다. 국민의 자긍심과 애국심을 해치고 대한민국의 미래비전을 세울 수 없게 만든다. 대한민국 자체를 부정하는 역사관에서 어떻게 대한민국의 선진화 비전이 나올 수 있겠는가?
  
 다음은 憲法의 위상을 바로 세우는 일이다. 헌법이란 한 나라가 추구하는 국가목표와 국가이상이고, 국민들 모두가 합의한 공동가치와 이념이다. 따라서 대단히 소중히 해야 한다. 국가의 기본가치와 기본제도를 규범화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언제부터인지 대한민국의 헌법을 가볍게 생각하고 헌법에 기초한 법치주의를 공격하는 풍조가 우리사회에 들어 왔다. 이것은 크게 잘못된 것이다. 우리나라 헌법이 지향하는 기본가치인 자유민주주의, 법치주의, 시장경제, 복지사회, 국제평화주의, 자유민주주의적 통일의 원칙 등등을 대단히 소중히 하여야 한다. 국가의 존립의 기본가치이고 기본제도이기 때문이다. 이를 흔들면 대한민국은 존립하기 어렵고, 존립 자체가 어려운데 어떻게 미래를 향한 선진화 비전이 나올 수 있겠는가?

 셋째는 [국가 리더십]을 바로 세워야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이 대중인기에 연연하고 영합하는 포퓰리즘(populism)에 빠지지 않는 [비전과 원칙의 리더십]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21세기는 변화와 개혁의 시대이다. 세계화, 기술발전, 고령화, 온난화 등의 변화가 지구적 규모에서 빠르게 진행되는 시대이다. 이러한 시대에 선진국진입에 성공하려면 국가제도의 일대개혁과 국민의식의 대대적 변화가 있어야 한다. 이 개혁과 변화를 성공적으로 이루어 내는데 가장 핵심적인 것이 국가리더십의 성격과 능력이다. 국가리더십이 자신의 단기적인 정치적 인기에 연연해서는, 장기적인 역사적 개혁과제를 수행해 내지 못한다. 선진화를 위해서는 인기영합의 리더십이 아니라 비전을 가지고 원칙을 지키는 [역사전환의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이 필요하다. 전환의 리더십 없이 어떻게 선진화의 비전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겠는가?                    

                 동북아구상·세계전략의 바로 세우기 

두 번째 분야는 동북아구상과 세계전략을 세우는 분야이다. 크게 보아 두 가지 시급한 국정과제가 있다.

 하나는 [동북아 구상]을 세우는 일이다. 구체적으로는 동북아에 거대한 단일 패권국가(hegemonic great power)의 등장을 막는 일이다. 한반도의 역사를 보면 동북아에 거대 패권국가가 등장하면 한반도는 속국이 되거나 변방이 되어서 국가의 자존과 발전을 지키기 대단히 어려웠다. 또한 두 나라가 동북아에서 패권을 경쟁하면 한반도에서 항상 전화(戰禍)가 있었다. 따라서 우리에게는 동북아에서 거대패권의 등장을 막는 것이 국가의 명운이 걸린 문제이다. 그래서 대한민국의 선진화를 구상할 때 불가결한 핵심적 세계전략의 하나는 동북아에 패권국가의 등장을 막는 일이고 이를 위한 우리의 동북아 구상이 필요하다. 

 다음은 [대북정책]을 바로 세우는 일이다.  그 동안 우리나라의 대북정책은 크게 혼란스러웠다. 이 부분을 바로 잡지 아니하면 대한민국의 선진화는 어렵다. 우선 대한민국의 대북정책의 기본방향과 원칙을 바로 잡고, 그리고 북한의 모든 가능성에 대하여 즉 soft-landing 과 hard-landing 모두에 대해 철저히 준비하여야 한다. 즉 북한이 점진적 체제변화의 길을 가는 경우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지원할 것인가? 그리고 급격한 체제붕괴의 길로 가는 경우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가 중요하다 특히 후자의 경우 철저한 준비와 과감한 결단이 없으면 대한민국의 통일과 한반도의 선진화는 모두 물 건너 갈 수 있다.  

           舊발전모델을 넘어 新발전체제를 수립

 세 번째 분야는 경제사회면에서 [新발전체제(new development regime)]를 구축하는 일이다. 대한민국은 지난 반세기동안 산업화와 민주화를 성공적으로 이루었다. 그래서 중진국의 선두주자가 되어 있다. 이제 선진국을 목표로 하려면 지난 반세기 대한민국을 발전시켰던 舊발전모델(old development model)을 극복하여야 한다. 그리고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에 기초한 新발전체제를 구축해 내야 한다. 舊발전모델은 기본적으로 선진국을 캐치 업(catch-up)하는 시대의 발전패러다임에 기초한 제도와 정책이었다.  舊발전모델은 (1) 선진국의 기존기술의 모방(copy)의 시대(2) 표준화된 상품의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시대 (3) 규모경제(economy of scale)에 기초한 대기업의 시대 (4) 장기고용과 내부노동시장(internal labor market)의 시대 (5) 半숙련노동과 거대노조의 시대 (6) 중앙집권적 국가운영의 시대 (7) 수출지향의 정부주도의 시대 (8) 관치금융과 정경유착의 시대 (9) 암기위주의 보편대량교육의 시대 등등의 특징을 가지는 것이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舊발전모델을 가지고 우리는 1963년 100불 하던 국민소득을 1995년 1만 불까지 올려놓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은 21세기 세계화와 정보화의 시대이다. 선진국의 첨단 과학기술혁명의 속도는 엄청나게 빠르다. 20세기 말부터 세계화가 본격화되면서 지구촌경쟁은 갈수록 가속화되고 있다. 여기에 우리가 지금까지 의지하여 온 舊발전모델을 활용하여, 우리를 뒤를 바짝 ?아 오는 후발주자들인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의 추격은 의외로 빠르다. 이러한 변화와 경쟁의 시대는 분명 도약의 기회이면서도 위험이 될 수 있다. 변화에 적응하여 빠른 자기개혁에 성공하면, 새로운 도약의 역사를 열 수 있으나, 변화에 적응이 늦어 제 때에 자기개혁을 해내지 못하면 역사의 후퇴를 결과한다. 

 이제 대한민국은 가능한 빨리 舊발전모델을 뛰어 넘어 新발전체제로 넘어가야 한다. 이 제도와 의식 도약에 성공하지 못하면 우리는 선진국이 될 수 없다. 그러면 新발전체제란 무엇인가? 어떠한 특징을 가진 regime인가? 

 신발전체제의 특징은 (1) 기술모방(imitation)이 아니라 기술 창조형 성장(innovation based growth)의 시대 (2) 유연기술(flexible technology)의 소량다품종 생산과 맞춤형 상품의 시대 (3) 혁신지향형 중소기업의 시대 (4)  단기 및 非정규고용과 외부노동시장의 시대 (5) 숙련 및 지식노동과 노조다양화의 시대 (6) 광역형 지방분권내지 지방주권의 시대 (7) 내수-수출균형의 민간주도의 시대 (8)금융자율화와 투명화의 시대 (9) 창의성위주의 교육다양화의 시대 등등으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신발전체제로의 국가제도 면과 국민의식 면에서의 도약이 없으면, 우리의 선진국진입은 성공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선 우리의 경제, 산업, 기술, 교육, 노동, 행정, 기업, 금융 등등 모든 분야가 한마디로 질적인 환골탈태(換骨奪胎) 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선진화개혁이고 선진화혁명이다. 

 이렇게 하여야 대한민국을 세계적 투자허브(investment hub)로 만들 수 있다. 국내자본은 물론이고 세계자본들이 모여들어, 서로 서로 생산적 투자를 경쟁하는  지역이 될 수 있다. 국내인재는 물론이고 세계적 인재들이 몰려와서 경제 과학 학술 문화 관광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역동적 지역이 될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선진국의 모습이고 선진국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신발전체제로의 도약을 위하여 많은 정책과제가 있으나, 크게 보아 다음과 같은 4가지 과제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는 세계일류의 창조교육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 둘째는 세계최첨단의 과학기술혁명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 셋째, 민관협치(民官協治)의 작지만 강한정부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 넷째, 중앙집권의 시대를 끝내고 광역분권형 지방주권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 
    

                新사회통합정책으로 국민통합

네 번째 분야는 사회통합과 국민통합을 이루어내는 일이다. 세계화시대 그리고 급속한 과학기술혁신의 시대에, 선진국으로의 도약을 위하여 舊발전모델에서 新발전체제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면, 정부, 지방, 기업, 학교, 시민단체 등 모든 제도와 조직에서의 대대적인 구조개혁과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그리고 모든 구조조정과 구조개혁은 단기적으로 승자와 패자를 만들어 내고 그들 사이의 소득격차를 심화시킨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모두를 중장기적으로 승자로 만드는 방향으로, 그리하여 소득격차의 축소의 방향으로 몰고 나가는 정책이 있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사회와 국민통합을 위한 사회정책이다. 단순히 舊발전모델을 新발전체제로 바꾸는 경제정책(economic policy)뿐 아니라 국민통합을 위한 사회정책(social policy)이 함께 나와야 우리는 대한민국의 선진화를 성공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 사회정책은 이미 때가 지난 [20세기형 복지국가 모델]에 기초한 것이어서는 아니 된다. 20세기형 복지국가모델은 기본적으로 국제개방성이 낮은 산업화시대의 모델이다. 오늘날과 같은 세계화의 진전이 눈부시고 국제개방성이 높은 후기산업화시대 혹은 고도지식정보화 시대에는 맞지 않는다. 새로운 [21세기 형 평생복지모델]이 나와야 한다. 그런데 21세기형 평생복지를 위해선 반드시 21세기형 평생교육시스템과 21세기형 평생고용시스템이 함께 구축되어 이 삼자가 황금의 삼각구조를 이루어야 가능하다. [평생복지-평생고용-평생교육]이라는 황금의 삼각안전망(golden triangle safety-net)을 구축하는 것이 바로 선진화시대의 新사회통합정책의 기본이 되어야 한다. 여기에 성공하면 세계화시대 정보화시대의 물결을 타고 경제가 발전하면서도 사회의 양극화나  소득분배의 악화를 막을 수 있다. 그것이 우리가 바라는 진정한 고품격의 선진사회이다. 

이상을 요약하면 대한민국의 선진화를 위한 국가과제는 다음과 같이 10개의 과제로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자기부정의 역사관에서 자기긍정의 역사관으로 바꾸어야 한다.
둘째, 헌법의 위상을 높이고 법치주의를 바로 세워야 한다.
셋째, 대중인기에 영합하지 않는 역사전환의 국가리더십을 세워야 한다.    
넷째, 대한민국의  동북아 구상과 세계전략을 세워야 한다.
다섯째, 국민적 합의에 기초한 올바른 대북정책을 세워야 한다.
여섯째, 세계일류의 창조교육을 위한 교육개혁을 추진하여야 한다.
일곱째, 세계최고의 과학기술혁신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여덟째, 작지만 강한 정부와 민관협치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
아홉째, 중앙집권을 넘어 광역 분권형 국가경영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
열째, 평생복지-평생고용-평생교육의 황금의 삼각안전망을 구축하여야 한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505 [전상인] 박사의 나라 08-11-26
504 [유호열] 미국대선과 한반도 08-11-21
503 선진화를 위한 10대 과제 시리즈(2) - (10대 국가과제-1) 바른 역사관의 정립 08-11-14
502 [김영봉] 法治(법치)가 국가브랜드 가치 높인다 08-11-13
501 [김일영] 오바마 시대<5·끝>오바마 당선의미 ‘아전인수’ 말아야 08-11-11
500 [윤덕민] 한미 대북정책 조율이 먼저 08-11-10
499 [안세영] 오바마시대 한·미통상의 오해들 08-11-10
498 [남상만] 웃는 얼굴로 외국인 관광객 사로잡자 08-11-10
497 [김영봉] 수도권-비수도권이 싸울 때인가 08-11-10
496 [이인호] 오바마의 미국이 보여주는 것 08-11-03
495 선진화를 위한 10대 과제시리즈(1)- '대한민국, 선진국 되려면?' 08-10-31
494 [이인실] 위기극복 관건은 신뢰회복 08-10-27
493 [이홍구] 금융위기는 곧 정치위기다 08-10-27
492 [김영봉] 우리는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말할 수 있는가 08-10-27
491 [이홍규] 규제개혁 속도 높이기 08-10-22
490 [윤덕민] 힐 차관보의 한계 08-10-17
489 [김형준] 연설보다 컨셉트가 우선이다 08-10-17
488 [이인실] 비오기 전 우산 준비해야 08-10-17
487 [김원식] 국민연금 총체적 개혁 절실하다 08-10-17
486 대한민국 선진화 전략시리즈(6) '누가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08-10-14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