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세계전략
----대한민국의 선진화를 위한 세계전략---
5: 대한민국은 어떠한 세계전략을 가져야 하는가?
우리는 3가지 국가이익, 즉 국가안전, 국민번영, 그리고 세계공헌(세계영향)을 위하여 어떠한 세계전략을 가져야 하는가? 국가안보를 위한 전략, 국민번영을 위한 세계전략, 그리고 세계공헌을 위한 전략으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5-1: 국가안보를 위한 전략
우선 국가안보와 국민안전의 보장을 위해서 어떠한 세계전략을 가져야 하는가? 하는 문제부터 살펴보자.
(1)對 동아시아 구상: 歷史인가 市場인가?
가장 주요한 전략적 목표의 하나가 동아시아에서 覇權主義의 등장을 막는 일이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것이 과연 중국의 미래가 어떠할 것인가? 중국이 어떠한 미래를 선택할 것인가? 라는 문제이다. (1) 국가간 상호 독립된 주권을 인정하고 대등한 국제관계를 존중하는 westphalia적 외교의 방향으로 갈 것인가? (2) 아니면 과거로의 회귀, 즉 中華的 세계질서로의 복귀의 방향으로 나아 갈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한 판단이 중요하다.
주지하듯이 19 세기 말 20세기 초 까지 중국에는 [대등한 국제관계]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았다. 엄격한 의미에서 외교적으로 (독립된 주권을 가진 대등한 국가 간의 관계)는 중국의 역사에는 존재하지 아니했었다. 오랫동안 중국에서는 국가 간의 관계에 대해 대등하지 않은 것이 오히려 자연스럽고 당연하다고 생각해 왔다. 그들은 지난날의 중화질서에서는 이웃나라(오랑캐)들은 중국을 上邦으로 숭상하고 스스로 蕃俗으로 자리매김 하는 것을 영예로 알고 있었다고 보고 있었다. 따라서 이웃나라들이 중국에 대하여 조공이 불가능한 것을 오히려 수치로 느낀다고 이해하고 있었다. 그 만큼 중국은 항상 王道를 실천하는 나라였다는 것이다. 그래서 19세기 중엽까지 중국은 대외관계를 이무(夷務)라고 불렀고, 그렇게 부르는 것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왔다. 그 다음에는 夷務에서 서양을 다룬다는 의미에서의 양무(洋務) 그리고 1912년 이후 內外라는 의미의 外가 아니라 中外(중국을 中에 놓고 중국의 밖을 다룬다는 의미)에서 外를 다룬다는 의미의 외무(外務)가 되었다. 사실 세계의 중심이라는 中國, 中華라는 말 자체가 자기를 높고 크게 여기는 자존자대(自尊自大)의 의미가 대단히 강한 표현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중국은 중국을 개별 國名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스스로를 [세계의 중심]으로 놓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중국의 수 천년의 역사였다.
그러나 지난 1978년 개혁개방이후 중국은 대단히 빠른 속도로 세계시장에 편입되어 가고 있다. 중국경제의 광범위한 시장경제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시장경제화는 패권적 위계적 국제질서와는 상호모순하고 상충하는 면이 있다. 시장경제화는 주권국가간의 대등관계라는 westphalia적 국제질서(자유대등질서)와 相依相生의 관계에 선다. 따라서 앞으로 중국이 과거 중화적 위계적 패권질서의 복권을 추구한다면 중국의 시장경제화에는 엄청난 부담이 될 것이고 그의 후퇴를 감수해야 할지 모른다.
중화질서로 복귀인가? 자유질서로 진일보인가
그런데 중국은 이미 시장경제화를 통한 경제발전을 최우선의 국가과제로 삼고 있다. 중국이 이미 가입한 WTO도 westphalia적 국제질서를 전제로 하고 있다. 과연 중국은 어느 방향으로 나갈 것인가? 과거의 [역사의 힘]이 강할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시장의 힘]이 더 강할 것인가? 위계적 중화질서로의 복귀인가? 아니면 대등적 자유질서로의 진일보인가?
우리는 중국이 과거의 중화적 패권주의로 복귀하는 것을 막고, 시장경제화와 상응하는 자유주의적 국제질서로 진일보하는 것이 중국의 장기이익에도 맞고 우리의 국가이익에도 합당하다고 본다. 엄밀히 이야기하면 중국만이 아니라 일본도 러시아도 모두 지역패권의 욕심을 버려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뒤에 상론하겠지만 모두가 EU식의 상호통합의 네트워크 식 多者주의(European multilateralism)으로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이 동아시아, 동북아 지역에 영원한 안정과 발전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렇다면 우리의 전략과제는 어떻게 하여 동아시아에 [패권주의적 국제질서]의 등장을 막고 이 지역에 [자유주의적 국제질서]의 형성을 촉진할 것인가? 어떻게 하여 이 지역에 자유주의적 국제주의(liberal internationalism)의 시대를 열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5가지 전략적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위한 전략적 노력
대한민국이 중간국가(middle power)이기 때문에 大國과의 군사충돌은 피하는 것이 옳다. 그러나 만일 이웃 4강이 군사적 개입을 시도하는 경우에 심각한 반격과 타격을 줄 수 있을 정도의 군사력 확보는 필수적이다. 아무리 대국이라고 하여도 대한민국에 군사적 개입을 시도하였을 경우, 이익보다 피해가 클 수 있다는 메시지는 확실히 줄 수 있어야 한다. 그 정도의 군사력의 확보는 필수적이다. 그래서 박정희 대통령은 [고슴도치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한 바 있다. 소위 부당한 요구에 대한 거부능력(denial capacity)은 확실히 갖추어야 한다. 우리의 자강능력을 높이기 위해 한미동맹을 최대한 활용하여 세계최강의 군사기술과 노하우를 가능한 많이 전수받아야 한다.
(나) 同盟전략
동아시아에서 패권주의의 부활을 막고 국가안보를 지키기 위하여 올바른 동맹국의 선택은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그러한 의미에서 미국은 우리의 최적의 동맹국이다. 한미동맹은 그 동안 대한민국의 안보의 기본이었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아니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미국이 우리에게 최적의 동맹국이 되는 이유는 몇 가지 있다.
미국은 최적의 동맹국
(1) 우리와 미국은 동아시아의 패권주의의 등장을 반대한다는 의미에서 공동의 목표 내지 이익을 가지고 있다. 지난 100년간 미국의 동아시아정책을 살펴보면 항상 지역패권의 등장에 반대하여 왔다. 왜냐하면 어느 나라이건 동아시아에서 지역패권에 성공하면 다음은 필연적으로 세계패권을 위해 미국과 경쟁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국은 항상 동아시아의 지역패권의 등장에 반대하였고, 그 점에서 우리 한반도의 국가이익과 일치한다.
(2) 미국은 우리와 지역적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다. 이것은 미국이 동아시아에서 지역적 패권국가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시에 미국은 옛날부터 동양의 국제관계에서 주장되어 온 遠交近攻의 원리에서 遠郊해야 할 가장 중요한 대상국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국토가 인접하여 있으면 불가피 영토분쟁 등에 휘 말리 위험이 있으나 그러한 영토적 패권으로 발전할 위험이 없는 나라가 또한 미국이다. 물론 우리는 미국뿐 아니라 EU, 인도, 동남아, 중남미 등과도 당연히 원교를 잘하여야 한다. 특히 앞으로 EU와의 관계를 보다 긴밀히 하는 것은 세계전략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3) 미국과 우리나라는 가치와 이념을 공유하는 나라이다. 정치질서로서의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 그리고 경제 질서로서의 시장경제가 두 나라가 공유하는 이념이고 가치이다. 나아가 westphalia적 국제관계, 즉 주권국가들 간의 대등한 자유주의적 국제관계가 또한 두 나라가 지향하고 있는 방향이다. 물론 한미동맹관계는 앞으로 종전의 [冷戰 형]을 끝내고 앞으로 [21세기 형]으로 바뀌어져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21세기적 상황에 맞는 진화된 [新 한미동맹비전]이 나와야 한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는 두 나라가 함께 지향하는 공동이념의 방향이라는 사실이다.
(4) 끝으로 중요한 이유는 미국이 모든 의미에서 세계최강국이라는 사실이다. 동맹이란 외부로부터의 안보위협이 있을 때 적을 함께 퇴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동의 적을 퇴치하기 위하여 함께 노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보위협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동맹국이 강할수록 바람직하다. 그런데 미국은 군사적으로 경제적으로 세계최강국이다. 이것이 우리에게는 동맹의 큰 利點이 된다. 뿐만 아니라 오늘날 세계문제에는 미국이 관여되지 않은 문제와 지역이 없다. 그것이 초강대국으로서의 미국의 운명이다. 따라서 세계문제에 영향력을 미치려면 미국과의 우호적 관계는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중국이냐 미국이냐는 잘못된 발상
우리 사회 일부에서는 21세기는 중국의 부상이 눈부신 시대인데 과거처럼 한미동맹을 유지하는 것이 과연 우리나라에게 장기적으로 유리한 것인지에 대하여 회의하는 주장들이 있다. 그래서 앞으로는 미국이 아니라 중국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 아닌가 하는 견해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발상은, 즉 중국이냐 미국이냐 하는 식의 발상은 크게 잘못된 발상이다. 양자는 결코 상호모순의 관계가 아니다. 미국과의 긴밀한 동맹관계는 한중관계에도 한일관계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물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즉 미국도 우리나라가 중국과 일본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여 그 만큼 그들에게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경우를 더 희망한다고 보아야 한다. 이는 또한 모든 동맹관계에 내재하여 있는 딜레마의 하나인 소위 ‘방기(放棄:abandonment)의 위험’(상대국이 동맹관계를 먼저 단절하는 경우)을 줄이기 위해서도 바람직한 정책방향이 된다. 일반론으로 방기(放棄)의 위험을 줄이는 기본전략은 (1)자강능력의 강화와 (2) 선택폭의 확대(creating option)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親중은 한미동맹의 강화를 위하여도 필요하다고 보아야 한다.
逆으로 미국이 무시하는 우리를 중국이 존중하기 어렵다. 중국이 깔보는 우리를 미국이 중시하기 어려운 것과 같은 논리이다. 따라서 미국이냐 중국이냐의 식의 발상은 크게 잘못된 발상인 것이다. 우리는 미국과 동맹하고 중국과 협력해야 한다.
한 가지 더 강조할 것은 대북안보에서 한미동맹의 중요성이다. 이 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지난 수 십 년 간 북의 남침을 막은 것은 한미동맹 체제이었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 통일 후에도, 우리가 중국과 압록강을 맞이하고 있을 때를 생각해 보아도, 또한 만에 일이라도 일본이 패권주의적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에도, 이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한미동맹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고 보아야 한다. 분명 통일 후에도 동북아지역의 안정자(stabilizer)로서의 미국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 진다고 보아야 한다.
미국의 영향력 감소에도 대비
(다) 均勢전략
주지하듯이 세계는 無政府(anarchy)의 세계이다. 따라서 국가안보를 위해서 균세(均勢) 즉 세력균형(balance of power)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세력균형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균세의 제도화(institutionalization)가 필요하다. 특히 과거 동아시아의 국제관계의 역사에서는 위계(位階)질서를 추구하였지만 균세(均勢)질서를 추구한 경우는 별로 없다. 그 만큼 동아시아에서는 중국의 中華主義가 압도적 영향력을 미쳤고 그 만큼 국가 간 대등(對等)주의의 전통은 약했다. westphalia 적 정신이 전혀 존재하지 아니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더욱 더 독립된 주권국가 간 대등주의에 기초하는 균세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1)우선 균세전략의 방향으로 [美·中·日간의 21세기적 新 3각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국가이익에 맞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美中의 패권경쟁의 가능성과 中日의 패권경쟁의 가능성을 모두 최소화해야 한다. 중일의 패권경쟁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 미국은 물론 우리도 일정한 중재자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미중의 패권경쟁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일본은 물론이고 우리도 당연 노력하여야 한다. 아니 세계의 모든 강대국들이 적극적으로 노력하여 미중의 패권경쟁을 막아야 한다.
(2) [한·중·일 3국 정상]의 대화
번호 |
제목 |
날짜 |
---|---|---|
495 | 선진화를 위한 10대 과제시리즈(1)- '대한민국, 선진국 되려면?' | 08-10-31 |
494 | [이인실] 위기극복 관건은 신뢰회복 | 08-10-27 |
493 | [이홍구] 금융위기는 곧 정치위기다 | 08-10-27 |
492 | [김영봉] 우리는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말할 수 있는가 | 08-10-27 |
491 | [이홍규] 규제개혁 속도 높이기 | 08-10-22 |
490 | [윤덕민] 힐 차관보의 한계 | 08-10-17 |
489 | [김형준] 연설보다 컨셉트가 우선이다 | 08-10-17 |
488 | [이인실] 비오기 전 우산 준비해야 | 08-10-17 |
487 | [김원식] 국민연금 총체적 개혁 절실하다 | 08-10-17 |
486 | 대한민국 선진화 전략시리즈(6) '누가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 08-10-14 |
485 | 대한민국 선진화 전략시리즈(5) '대한민국은 어떠한 세계전략을 가져야 하는가?' | 08-10-14 |
484 | 대한민국 선진화전략 시리즈(4) '대한민국의 국가이익은 무엇인가?' | 08-10-14 |
483 | [강경근] 군필자 가산점과 건군 60년 | 08-10-14 |
482 | [이홍구] 시험대에 오른 국가 위기관리 능력 | 08-10-14 |
481 | [김형준] ‘금융쇼크’ 정치권이 할 일 | 08-10-14 |
480 | [안종범] 종부세 4년을 평가하자 | 08-10-10 |
479 | [전상인] 도시는 기억으로 살아간다 | 08-10-09 |
478 | [전상인] 시위공화국 | 08-10-09 |
477 | [이인호] 공교육, ‘학교’ 아닌 ‘질’의 문제다 | 08-10-09 |
476 | [강경근] 헌법 부정하는 친북 좌파의 陰影 | 08-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