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뉴데일리] 대외신인도 추락 위기인데… 민간전문가 소통창 끊은 기재부
 
2024-12-27 10:15:20
최근 정부가 '국가경쟁력정책협의회'를 반기별로 개최해야 한다는 의무조항을 폐기했다. 계엄·탄핵 정국에 한국 대외신인도가 추락 위기에 놓였는데도 민간 전문가와의 소통창을 끊은 모습에 우려가 제기된다.

26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최근 정부는 '국가경쟁력 분석 및 제고에 관한 규정'(훈령)을 일부 개정했다. 이전까지는 규정을 통해 '의회는 반기별로 개최한다'는 의무조항을 명시했는데, 앞으로는 '협의회는 반기별로 개최할 수 있다'는 재량 규정으로 변경한 것이다. 

앞서 윤석열 정부에서 해당 협의회는 한 번도 열리지 않았다. 이에 윤 정부가 '소통'을 강조해 왔음에도 지난 정부에서 8차례 개최한 것과 대조적으로 국가경쟁력과 대외신인도 측면에서 민간 전문가의 목소리를 귀담아듣지 않는다는 지적이 수차례 제기된 바 있다. 

그런데 이번 훈령 개정을 통해 사실상 해당 협의회의 개최를 없애는 명분을 제도적으로 구축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받고 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현시점에서는 정치적 영향을 덜 받는 민간 전문가의 비판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해당 규정을 바꿀 이유가 없는데, 다양한 의견을 받아들일 준비가 안 된 거 같다"고 말했다.

아울러 현 계엄·탄핵 정국에 대외신인도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에서 민간 전문가와의 소통창구를 끊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당 협의회는 기재부 1차관을 의장으로 국가경쟁력과 국제평가지수 관련 업무를 체계적으로 지원·조정하는 역할을 하며 민간 전문가도 참여하기 때문이다.

강성진 교수는 "민간 전문가와 함께하는 협의회의 역할은 의견 수렴뿐 아니라 공감대 형성과 오피니언 리더들에 대한 정책 홍보도 있다"며 "이처럼 규정을 개정할 경우 정부는 한쪽 의견에 치우쳐지며, 정책 스피커의 볼륨을 낮추는 부작용까지 낳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기재부는 WEF 지표의 공표가 2019년 이후 중단된 점 등을 고려해 개정했다는 입장이다. 이전까지 협의회가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과 세계경제포럼(WEF)의 국가경쟁력지수 등을 관리해 왔는데, WEF 지표의 공표가 중단되면서 해당 협의회의 역할이 축소됐다는 의미다. 나아가 경제부총리 중심으로 장관급인 대외관계장관회의, 산업경쟁력장관회의 등을 통한 대응에 심혈을 기울이겠다는 취지다.

다만 협의회가 관리하는 지수에는 무디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피치 등 국제신용평가사가 발표하는 국가신용등급도 포함된 만큼 현 시국에서 중요도가 매우 큰 대외신인도 대처에 소홀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실제로 무디스와 피치는 최근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정치적 혼란이 장기화할 경우 한국의 신용 하방 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강성진 교수는 "국제신용평가사들이 한국이 장기적으로 대외신인도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지속적으로 경고하고 있다"면서 "정부는 정치적 혼란 속에서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회의에 부담을 느낄 수 있지만, 이럴 때일수록 공공 전문가들이 비판할 수 없는 측면에 대해 민간 전문가의 역할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기사 원문은 아래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206 [에너지경제] 강성진 차기 한국경제학회장 “에너지고속도로보다는 분산에너지 인프.. 25-07-09
2205 [유튜브 - 삼프로TV] 금 모으기, 새마을운동 정신이 사라진 이유 25-07-07
2204 [주간조선] 대한민국이 난파선이 되어가는 세 가지 이유 25-07-07
2203 [문화일보] “北, 해킹으로 연 1조원 불법 외화벌이” 25-06-20
2202 [서울경제] “보편적 지원금은 지속 불가능…저소득층에 집중해야” 25-06-18
2201 [팬앤마이크] 북한 전문 매체 "트럼프, 수차례 대화 시도했으나 김정은이 거듭 고사.. 25-06-12
2200 [파이낸셜뉴스] ‘노란봉투법’… 손배 책임·재산권 침해 논란, TV토론 계기로 재점화 25-05-21
2199 [문화일보] “새 정부, AI 기반 첨단 국방체계 전환…대통령 직속 독립적인 국가정보.. 25-05-21
2198 [스카이데일리] “새 정부, AI 기반 첨단 국방체계 전환해야” 25-05-21
2197 [주간조선] "의료를 국가전략산업으로 인식해야" 25-05-12
2196 [독립신문] 한반도선진화재단, 국가대전환시대 11대 정책제안 발표 25-05-09
2195 [문화일보] 한반도선진화재단, 11대 정책 제안 “자유민주주의·법치주의 복원해야” 25-05-09
2194 [아시아투데이] 아시아투데이·한반도선진화재단, ‘국가 재창조 11대 정책 제안’ 공.. 25-05-07
2193 [아시아엔] 신뢰와 공공성의 나라 ‘독일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25-05-07
2192 [이데일리] "꽉 막힌 52시간제·징벌적 상속세…기업 족쇄 푸는 게 정부 역할" 25-04-09
2191 [한국경제] 국가 리셋 달린 '선택의 시간'…원로들이 제시한 5가지 과제 25-04-07
2190 [에포크타임스] “부동산, 규제보다 중요한 건 예측 가능한 정책 시그널” 25-03-28
2189 [여성경제신문] 대통령·의회 중 제왕은 누구···'진실과 정론' 헌법 개정과 정치개혁.. 25-03-19
2188 [이데일리] 싱크탱크 연대 ‘진실과 정론’, ‘헌법개정과 정치개혁’ 주제 토론회 25-03-17
2187 [조선일보] 플라자 - 안민정책포럼·한반도선진화재단·경제사회연구원·정책플랫폼 토.. 25-03-13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