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노컷뉴스] "우크라戰, 한반도모델로 고착화…제2마셜플랜 50국 참여"
 
2024-04-08 17:54:41
"우크라이나 전쟁의 방향은 한반도 모델로 고착화될 것 같아요. 벌써 3년이 흘러가고 있잖아요. 현재의 전선을 중심으로 플러스 마이너스 해서 고착화될 겁니다. 일단 고비는 넘겼어요. (우리는) 종전과 함께 인도적 지원국으로 신속히 들어가야 합니다"

우크라이나 통으로 알려진 이양구 전 우크라이나 대사의 말이다. 그는 현재 한국우크라이나 뉴빌딩협회 회장직을 맡고 있다.

이양구 뉴빌딩협회장은 4일 경북대 박물관에서 유라시아 실크로드 인문학 최고위과정 초청으로 행한 '우크라이나 전쟁과 대응전략' 강연에서 이같이 언급하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간 협상에는 갭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합의까지는 안돼도 묵시적으로 인정하는 동결된 전쟁으로 귀결될 것으로 본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걱정은 러시아가 앞으로 공중분해될 수 있다. 국제 제재와 안 좋은 국내사정으로 어마어마한 타격을 입고 있어 이런 것들이 한꺼번에 터지면 붕괴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그의 강연은 '우크라이나 전후 처리문제와 한국이 이 가운데서 찾을 수 있는 기회와 이니셔티브'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양구 협회장은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재원으로 러시아 동결자금 3000억 달러의 수익(수십억 달러 추정)을 쓰자는데 (서방의) 합의가 됐다"며 유럽시장을 커버할 전진기지로서 우크라이나를 거론했다.

그는 "우크라이나인이 원하는 건 제2의 코리아가 되고 싶다는 것이고, K-산단의 신속한 투입을 통한 전후지원에 나선다면, 이를 발판 삼아 (한국이)향후 우크라이나를 전진기지로 EU를 커버할 수 있고, 우크라이나를 넘어 중동 아프리카까지 커버할 비전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이 우크라이나를 적극 지원해야 하는 이유로 ▲지정학적.전략적 가치와 전후지원, ▲유럽과의 지리적 접근성, ▲EU의 스탠더드를 도입한 나라, ▲양질의 인적자원 등 풍부한 국가발전의 잠재력보유 등을 꼽았다. 그는 이를 근거로 "우크라이나는 어떤 공식을 적용해도 잘될 나라다"고 규정했다.

이양구 협회장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한국은 방산과 원전, 러시아 가스공급중단에 따른 조선경기 활황, 무역 등의 분야에서 이미 수혜를 보고 있다"며 "뉴마셜플랜으로 불리는 전후 복구에는 50개 선진국이 참여할 것이고 한국의 경쟁력은 3만여명의 재 우크라 동포와 속도감, 인적자원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전후 복구에 20,30년이 소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지만 한국은 3+2년 이면 가능할 것"이라는 주장도 폈다.



◆ 기사 원문은 아래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215 [한국경제] "객관적 지표 없는 노란봉투법, 해석자 따라 결론 달라져" 25-09-12
2214 [조선일보] ‘北核 위협’ 담은 영문 서적 펴낸 박휘락 교수 25-09-01
2213 [매일신문] "핵 고려시 北군사력 南보다 30% 우월"…"美핵우산 반드시 필요" 25-08-29
2212 [뉴데일리] 북핵은 현실, 전략은 부족 … 한기호 "우수 과학기술로 북핵 무력화는 개.. 25-08-29
2211 [한국경제TV] 美 핵우산 걷힌다면…"北군사력 南보다 우월" 25-08-29
2210 [연합뉴스] "핵 고려시 北군사력 南보다 우월…美핵우산 반드시 필요" 25-08-29
2209 [주간조선] '노란봉투법' 줄소송과 위헌 논란 번진다 25-08-25
2208 [아시아투데이] ‘공감 사라진 극단의 정치 어디까지 왔나 25-08-14
2207 [주간조선] "노란봉투법, 현 상태로 통과되면 파장 크다" 25-07-14
2206 [에너지경제] 강성진 차기 한국경제학회장 “에너지고속도로보다는 분산에너지 인프.. 25-07-09
2205 [유튜브 - 삼프로TV] 금 모으기, 새마을운동 정신이 사라진 이유 25-07-07
2204 [주간조선] 대한민국이 난파선이 되어가는 세 가지 이유 25-07-07
2203 [문화일보] “北, 해킹으로 연 1조원 불법 외화벌이” 25-06-20
2202 [서울경제] “보편적 지원금은 지속 불가능…저소득층에 집중해야” 25-06-18
2201 [팬앤마이크] 북한 전문 매체 "트럼프, 수차례 대화 시도했으나 김정은이 거듭 고사.. 25-06-12
2200 [파이낸셜뉴스] ‘노란봉투법’… 손배 책임·재산권 침해 논란, TV토론 계기로 재점화 25-05-21
2199 [문화일보] “새 정부, AI 기반 첨단 국방체계 전환…대통령 직속 독립적인 국가정보.. 25-05-21
2198 [스카이데일리] “새 정부, AI 기반 첨단 국방체계 전환해야” 25-05-21
2197 [주간조선] "의료를 국가전략산업으로 인식해야" 25-05-12
2196 [독립신문] 한반도선진화재단, 국가대전환시대 11대 정책제안 발표 25-05-09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