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스타뉴스] 어려운 문화행정, 행정사에 물어보자
 
2022-09-02 14:17:06

◆ 박광무 성균관대초빙교수·前 한국문화관광연구원장은 한반도선진화재단 문화관광정책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방탄소년단(BTS)의 인기가 글로벌 팬덤단체인 아미(Army)를 통하여 놀랍게 확산을 하면서 케이팝(K-pop)의 세계적인 확산은 급기야 한국문화 전반에 대한 거대한 관심으로 확대되었다.

세계문화의 흐름에서 한국문화(K-culture)를 모르면 현대 문화현상을 모르는 것처럼 보이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문화예술에 종사하는 많은 분들은 여전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의 문턱을 넘기에 어려워하고 주저하는 경향이 있다.

행정절차와 관련문서를 작성하고 제출하는 방법이 까다롭고 어려워서, 문화예술은 전공분야니까 잘하지만 문화행정은 낯설어서, 관청의 공무원이 무서워서, 행정정보에 접하기가 너무 어려워서, 거절될까봐 두려워서 등 다양한 사정이 있을 수 있다.

행정 자체가 워낙 전문영역이라는점을 이해해야 하는 면도 있다. 과거에 비해 정부 민원 창구가 계속 낮아져왔고 이제는 웬만한 민원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쉬워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행정이 세분화 되고 날이 갈수록 더욱 전문화하면서 불가피하게 행정절차와 처리방식도 더욱 전문화되고 세분화되는 경향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여기서 행정사의 역할이 필요하게 되었다. 행정사는 시민들이나 기업이나 여러 형태의 목적을 지닌 민간단체에서 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에 대한 일을 보면서 전문적이고 특수한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낄 때 문서행위를 대신하거나 자문 조언을 포함하여 도움을 드리도록 법적인 자격을 부여받은 전문가다.

민과 관의 중간 도우미 역할을 합법적으로 부여받은 매개자라는 뜻이다. 최근에는 행정사 분야가 점점 세분화 되고 있다. 그래서 문화 체육 관광 문화재 종교 문화콘텐츠 예술 등에도 전문 행정사가 존재한다. 넓은 뜻의 문화분야에 속한 대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업무를 함에 있어 언제든지 누구든지 어려울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에피소드를 소개한다. 오래전 한국문화관광연구원장 재직시 전국의 문화현장에서 다양한 분야별로 열심히 창의적으로 일하던 전문가들을 정책연구자문위원으로 모신 적이 있었다.

그 분들은 지금도 여전히 왕성하게 현업에서 각자 맡은 일을 하면서 새로운 창조적인 도전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일을 하다보면 여러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그 중 어떤 분은 공연과 이벤트에 매우 능통한 분이 있는가 하면 또 어떤 분은 지역발전을 위하여 헌신하면서 문화적으로 아이디어를 내어서 사업을 벌이고 꾸준히 발전해오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누구든지 무엇이든지 모든 것을 다 잘 할 수는 없다. 각자의 전공분야가 다르고 또 하는 일도 다 다르다. 어찌보면 행정이라는 것도 얼핏 누구든지 잘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막상 닥치면 막막해지는 게 사실이다. 연극 영화 뮤지컬 등이 모두 공연이지만 성격이 다르고 각각의 전문가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결국은 전문성 있는 사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행정학의 역사에서도 행정의 전문성과 특수성이 보편성 못지않게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필자가 대표로 있는 행정사법인CST는 행정 중에서도 특히 문화 체육 관광 문화재 등 문화 분야에 집중하여 행정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고 조언해 드리고자 설립되었다. 우리나라의 문화체육의 발전을 위해서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취지에서다.

[칼럼 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036 [국민일보] “한국 인적 역량 B학점… ‘일하는 복지’로 전환해야” [출처] - 국민일보 .. 22-10-17
2035 [FN TODAY] 김형준 “이재명 선거법 유죄 나면 민주당 쪼개질 것” 22-09-26
2034 [월간조선] 한 경계인의 ‘대한민국 현대사 紀行’ 22-09-21
2033 [스타뉴스] 어려운 문화행정, 행정사에 물어보자 22-09-02
2032 [뉴스퀘스트] 자유기업원 등 4개 단체, ‘윤석열 정부 출범 100일 평가와 과제’ 공동.. 22-08-19
2031 [디지털타임스] 검증·데이터 통해 바라보는 정치 전문가… "李 권력 독식땐 文 `정치.. 22-08-18
2030 [디지털타임스] "與 2년뒤 총선서 질 수도… 경쟁자 나타나면 尹대통령도 바뀌겠죠" 22-08-18
2029 [The Public] 자유기업원, ‘윤석열 정부 출범 100일 평가와 과제’ 세미나 개최 22-08-11
2028 [문화일보] “불법행위엔 엄정한 법 집행 필요 … 대체근로 등 기업 대항권 강화를” 22-07-11
2027 [머니투데이] 국회 '입법폭주' 실태 점검과 해결책 모색 토론회 개최 22-06-23
2026 [에너지경제][기획=탈석탄 포퓰리즘] ‘현실 따로 이상 따로’에 "결국 국민 골탕 우려" 22-06-15
2025 [서울경제] "노사정 대타협 '제도적 틀' 시급…불법 행동엔 무관용 대응을" 22-06-13
2024 [디지털타임스][역대 기재부장관 특별대담] "노동시장 경직 심각… 52시간제 등 자율.. 22-06-13
2023 [문화일보] “진보 몰락 시작 ‘변곡점 선거’… 尹정부도 반면교사 삼아야” 22-06-03
2022 [한경경제] "전기료 30%는 올려야 한전 적자 만회할 것" 22-05-30
2021 [데일리안] ‘비상경영’ 삼성, 文정부 ‘언더도그마’에 발목…“이재용 사면, 정치적 판.. 22-05-03
2020 [월간조선] “노동이사제 민간기업 적용은 최대한 막아야 22-04-29
2019 [세계일보] “尹, 文정부 친중정책 폐기하고 전통적 한·미관계 복원을” 22-04-27
2018 [한국일보] 원희룡과 文정부 협공한 감정평가학회장 "현 공시가는 실거래 연좌제" 22-04-20
2017 [NEWSIS] 軍 미사일 공격·방어 조직 개편에도 '실제 운용 문제' 지적 22-04-05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