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조선일보] 광역 시(市)·도(道) 과감한 대통합 고려를
 
2009-05-06 09:32:09

 

[2009 한국, 어디로 가야 하나] 광역 시(市)·도(道) 과감한 대통합 고려를

 

바람직한 지방행정체제 개편 방향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체제 개편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지방행정체제 개편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역할, 지방정부 계층구조, 행정구역 등을 바꾸는 것인 만큼 국가권력 전체의 근간에 대한 개편을 의미한다. 헌법 개정이나 남북통일 문제도 고려하며 신중히 논의해야 하는 중대한 과제다. 국회는 지방행정체제개편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본격 논의를 하려 한다. 국가 근간에 해당하는 지방행정체제 개편 문제를 정치적 이해관계에 민감한 국회의원이 중심이 돼 논의하는 것 자체가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현재 국회의원이 중심이 돼 논의되고 있는 지방행정체제 개편안들은 지방정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깊은 고려 없이 진행되고 있다는 데 우려를 금할 수 없다. 국가 전체의 시스템을 짜면서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지방정부 간 역할에 관한 청사진이 없다는 점에서 정치권의 지방행정체제 개편론은 미래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세계화는 지역 간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다. 국경에 갇힌 국내 지역 간 경쟁을 넘어 국경 건너 지역 간의 경쟁이 전개되고 있다. 이제는 지역이 직접 지역 특성에 맞는 경제정책, 산업정책을 결정하고 그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질 것을 요구한다. 지역산업과 경제에 대한 정책을 입법화하는 것도 지방정부 몫이 되고 있다. 많은 국가기능을 지방정부로 이양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지방정부는 이를 감당할 만한 규모와 역량을 구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국에서는 지역정부 내지 지방국가로 지방행정체제를 개편해 나가고 있다. 프랑스·스페인·일본·독일 등의 행정체제 개편 논의가 이에 속한다.

대한민국의 광역지방자치단체인 시·도가 이런 시대적 요구를 담을 수 있는 그릇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진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경기도와 서울을 제외한 나머지 시·도는 이런 지역적 과제를 수행하기에 역량이 부족하다. 다른 나라에서 지역단위를 인구 500만~1000만명 정도 규모로 재편해 이런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있는 만큼, 우리도 지역 간 경쟁을 위한 광역지방행정체제를 정비할 때다. 다만 행정구역이 단순한 땅 나누기가 아니라 지역공동체 형성이라는 점에서 역사·문화·사회적 정체성을 가능한 한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려면 정치적 이유로 분리된 광역시를 다시 도에 통합해 지역공동체와 지역경제단위가 양립하게 함으로써 지역정치단위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우선 광주·전남,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대전·충남 간 통합을 생각할 수 있다. 인천·경기, 인천·서울의 결합도 진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런 통합을 해도 규모가 열세인 전남·전북, 충남·충북의 대통합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또 가능하다면 부산·울산·경남과 대구·경북을 통합해 원래의 경상도 지역으로 재편하는 대통합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경기도에 대응하는 지역단위가 국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국제적 지역 간 경쟁에서도 상당히 유리한 조건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도 불구하고 정치권에서는 16개 광역 시·도를 쪼개 40~70개의 통합광역시로 만들어 지역을 무력화시키려 하고 있다. 시대적 요구를 무시한 역주행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오늘날 세계화로 인한 지역 간 경쟁은 경제단위로서 광역적 지방정부를 필요로 하지만 동시에 일상적 생활문제를 다루는 기초지방정부도 있어야 한다. 생활의 변화로 행정구역과 생활구역이 불일치하게 된 지역에 대해서는 기초지방정부의 구역 재조정이 요구된다. 통합이 필요한 곳도 있지만 성남과 분당같이 분할이 필요한 곳도 있고, 행정구역 경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곳도 있다.

이기우 인하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목록  
번호
제목
날짜
372 [한선·한국경제 공동기획] 구조조정 방향과 과제(09.06.05) 09-07-07
371 [한선·한국경제 공동기획] 최근 경제현황 및 위기대응 평가_09.05.12 09-07-07
370 [한국경제] 경제위기 이후가 걱정, 선진화재단, 한경 첫 토론회 09-07-07
369 [한선·한국경제 공동기획] 공공기관 선진화 문제점·개선방안_09.07.02 09-07-07
368 [뉴데일리뉴스]자유주의 바탕으로 교육개혁 추진해야_09.07.01 09-07-01
367 [한국경제] 녹색뉴딜 성격 불분명..대부분 토목공사 위주_09.06.11 09-06-15
366 [내일신문] 박세일 윤여준, 세계화·지방화 전략 모색 09-05-22
365 [조선일보] 행정도시·혁신도시·기업도시 문제 더 커지기 전에 정리하자 09-05-06
364 [조선일보] 수도권은 외국 대도시와 경쟁하게 해야 09-05-06
363 [조선일보] 광역 시(市)·도(道) 과감한 대통합 고려를 09-05-06
362 [조선일보]'유령 공항' 이젠 지긋지긋… 지방정부, 먹고살 플랜 직접 짜라 09-05-06
361 [프레시안 논평] 클린턴은 박세일, 오바마는 최장집 09-05-06
360 [조선일보] 2009 한국의 모색―좌우를 뛰어넘다-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09-04-29
359 [내일신문] 추경과 자살방지책 09-04-28
358 [서울신문] '2012년 한국 경제성장률 급락 가능성” 09-04-28
357 [경향신문] 3년 뒤 경제 또한번 휘청” 한반도선진화재단 보고서 09-04-28
356 [한국경제] 한반도선진화재단,수출 급속 회복 어려워 09-04-28
355 [MBN] 2012년 성장률 뚝 떨어질 듯 09-04-28
354 [조선일보] 60대(代)까지 일하는 사회 만들자 09-04-27
353 [조선일보] 비정규직·영세 자영업자도 고용보험 가입 늘려야 09-04-27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