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월간조선뉴스룸] 정치가 점령한 북한 경제 사용법
 
2020-04-06 15:08:57

정치가 지배하는 북한경제 (조영기 지음 | 한반도선진화재단 펴냄)


  왜 북한 경제는 그야말로 폭삭 망했을까. 이유를 짐작하는 건 어렵지 않다.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건 다른 얘기다. 북한 전문가인 조영기 국민대 초빙교수는 최근에 낸 이 책에서 북한 경제를 ‘경제의 정치화’란 관점에서 해부했다. 정보량이 부족하고 그 정보마저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북한 연구의 특수성을, 입수 가능한 북한 내부 문헌을 최대한 활용해 극복했다.
 
  저자는 ‘정치엔 정치의 길이 있고 경제는 경제의 길이 있다’며 ‘정치가 경제에 개입·간섭하면서, 경제가 정치권력에 의해 좌우되어 경제가 위기로 치닫는 현상’을 ‘경제의 정치화’로 정의했다. 현실에서 관찰하기 쉬운 예가 국유화다. 사회주의 경제에선 생산수단의 사적 소유를 계획경제의 실현을 저지하는 핵심요소로 여겼다. 혁명을 통해 거대 기업들을 전부 국가가 ‘접수’하면 거대한 생산 능력이 실현된다고 봤다.
 
  그러나 그렇게 되지 않았다. 로버트 서비스(Service) 옥스퍼드대 역사학과 교수가 저서 《코뮤니스트》에서 썼듯, ‘사회주의 이념은 역사상 가장 매혹적이었고, 실현되었을 때 가장 파괴적’이었다. 이유 중 하나로 조 교수는 ‘독재자의 경제논리’를 들었다. 독재자의 경제논리란 독재자 또는 독재집단은 그들 집단의 경제적 잉여를 극대화하는 걸 우선한단 뜻이다. 경제의 정치화 현상이 심화되면 독재자의 경제논리가 적용될 가능성이 올라간다. 그 결과 국민 다수에게 돌아가야 할 경제적 잉여가 독재집단의 잉여로 이전하게 된다. 그 결과는 우리가 보는 대로다.
 
  북한 경제가 살아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정치 예속에서 벗어나는 게 근본적인 처방전이겠지만, 그건 저자를 비롯한 독자들이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해결책은 단편적일 수밖에 없다. 저자는 수출산업 육성과 경제특구 활성화를 통한 산업화를 들었다. 책을 읽을수록 문재인 정부가 펴고 있는 경제 정책들이 떠오른다. 입맛이 쓰다.⊙


◆ 기사 원문은 아래 [기사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1976 [투데이신문] 강성진 “高비용 ESG ‘갈 수밖에 없는 길’…정부, 규제보다 지원 우선” 21-08-12
1975 [서울신문] “권력자, 비판 언론 공격 일삼고… 언론은 자기검열에 빠질 것” 21-08-10
1974 [UPI뉴스] "여성인권 침해한 '쥴리 벽화'…여성단체는 어디갔나" 21-08-04
1973 [머니투데이] "아침 7시부터 광클해도 실패"…스타벅스 프리퀀시, 공정거래법 위반? 21-07-20
1972 [YTN] 이재명 턱밑까지 추격한 이낙연...신경전 최고조 21-07-20
1971 [전기신문] 석탄발전상한제 놓고 전력당국과 민간 석탄발전사 '팽팽' 21-07-20
1970 [대한경제] “신규 석탄발전 퇴출시 18조 규모 소송전 벌어질 수도” 21-07-20
1969 [중앙일보] 당정 “소상공인에 최대 3000만원, 내달 17일부터 지원” 21-07-20
1968 [중앙일보] 역대 최고 코로나 소상공인 지원금…3000만원 누가 받나 21-07-19
1967 [NEWS1] 여야 대권주자 '올드보이 vs 뉴보이' 대결…변수는 이준석 리더십? 21-07-19
1966 [YTN] 여야 대선주자 경쟁 본격화...코로나19 유행 '변수' 21-07-19
1965 [중앙일보] 이재명 ‘수술실 CCTV’ 이낙연 ‘토지독점규제’…與 입법경쟁 21-07-19
1964 [스카이데일리] 북한도 비웃는 文정부 군(軍) 혁신놀음에 구멍 뚫린 국가안보 21-06-21
1963 [문화일보] 경제성장도 분배도 ‘자유경제체제’ 근간 위에서 실현해야 21-06-15
1962 [이데일리] "암호화폐 상장, 금융당국이 심사 감독해야" 21-05-28
1961 [미래한국] 자유, 왜 중요한가 21-05-24
1960 [프라임경제] 전가림 호서대 교수 “한중관계 개선 위해 입장 명확히 밝혀야” 21-05-13
1959 [MEDI:GATE] 박종훈 교수 "정부, 백신 중요성 간과…적정 가격 논의하다 구매 시기 .. 21-05-03
1958 [헤럴드경제] 음미할수록 진한 ‘미나리’, 인류보편 가치 다 품었다 21-04-27
1957 [한국경제] "한국형 ESG지수 만들 때 정치·이념적 요소 배제해야" 21-04-19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