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이념논쟁..'우리사회 분열증 어떻게 치료할까'
[ⓒ '글로벌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
오는 2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한국의 진보를 말하다'를 주제로 열리는 학술대회는 사사건건 보수와 진보로 대립해온 우리사회의 '분열증'을 어떻게 치료할지를 모색하는 자리가 열릴 예정이어서 주변의 관심을 끌고 있다.
올곧은 보수와 진보를 표방하는 한반도선진화재단과 좋은정책포럼은 지난해 11월 '한국의 이념논쟁 보수를 말한다'를 주제로 '보수'를 정리한 데 이어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한국 '진보'의 실체는 무엇이고, 어디쯤 와 있는지를 진단한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한국의 진보를 규정하는 총론부터 진보적 시각에서 현재 당면한 안팎의 위기를 진단하는 각론까지 다양한 논의가 전개될 예정이다.
김윤태 고려대 교수는 '한국 진보의 비교사적 고찰'을 통해 한국 진보의 역사를 추적하고, 홍성민 동아대 교수는 '한국진보, 그들은 누구인가'를 주제로, 주대환 사회민주주의연대 대표는 '한국 진보에 미래는 있는가'를 주제로 각각 발제한다.
또 '한국 진보 성장을 어떻게 볼 것인가'를 주제로 한 신정완 성공회대 교수의 발표를 필두로 '글로벌화'(유종일.KDI), '북한과 통일'(김근식.경남대) 등 현재의 이슈를 진보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발표도 진행된다.
이밖에 강명세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장덕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김일영 성균관대 교수, 이병천 강원대 교수, 이근 서울대 교수, 안세영 서강대 교수가 토론자로 참가한다.
한반도선진화재단 등은 이번 심포지엄을 마무리한 후 오는 6월께 진보와 보수인사가 모두 참가하는 종합토론 성격의 '보수와 진보의 대화'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끝으로 '이념논쟁 보수-진보를 말하다' 시리즈를 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한반도선진화재단 측은 "이제 보수는 진보로부터 진보는 보수로부터 배워야 한다"면서 "이번 학술대회는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진보의 비전이 무엇인지를 토론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정윤나 기자 okujyn@asiatoday.co.kr>
번호 |
제목 |
날짜 |
---|---|---|
352 | [조선일보] '이념의 장(場)' 계속땐 노사대화 없다 | 09-04-27 |
351 | [조선일보] '87연식(年式)' 그만… 조직개혁부터 | 09-04-27 |
350 | [연합뉴스]"2012년께 성장률 뚝 떨어질 가능성" | 09-04-23 |
349 | [한겨례] “수출 지향·신자유주의 넘어설 패러다임 필요” | 09-04-09 |
348 | [중앙일보] 시대를 논한다 /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 09-03-30 |
347 | [데일리안] 민노총과 전교조는 진보진영의 계륵 | 09-03-27 |
346 | [한겨레] 진보여, 다양한 세력 모아 한국형 뉴딜연합 만들라 | 09-03-27 |
345 | [국민일보] 한국 진보는 위기.. 변화만이 살 길 | 09-03-27 |
344 | [연합뉴스] 이념논쟁.. 혁신된 진보가 필요하다 | 09-03-27 |
343 | [데일리NK] 한국의 (구)진보 생명력 다해 해체중 | 09-03-27 |
342 | [연합뉴스] '한국의 진보를 말한다' 심포지엄 | 09-03-27 |
341 | [경향신문] 진보는 미래가 있는가… 진보진영 ‘새 집’ 모색 토론회 | 09-03-25 |
340 | [연합뉴스]'좌파, 도덕적 우월감과 계몽성 버려야' | 09-03-25 |
339 | [동아일보]사설- ‘進步’ 간판 떼야 할 세력이 민주노총 전교조뿐인가 | 09-03-25 |
338 | [서울신문] “밥먹여주는 민주주의를 해야” | 09-03-25 |
337 | [중앙일보] 좌파, 이념적 올바름 강요 말고 시민 위한 ‘좋은 정책’ 만들어야 | 09-03-25 |
336 | [조선일보] '민노총·전교조, 천덕꾸러기로 전락' | 09-03-24 |
335 | [동아일보] “민노총-전교조는 진보진영의 계륵” | 09-03-24 |
334 | [동아일보] '정치권, 표 얻기 위해 사회분열 부추겨” | 09-03-23 |
333 | [아시아투데이] 한국의 이념논쟁..'우리사회 분열증 어떻게 치료할까' | 09-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