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 대사는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한·중 관계의 오늘과 내일’ 세미나에서 미국이 INF 탈퇴 이후 한국 측에 중거리 미사일 배치를 요구할 경우 “한국 정부는 충분한 정치적 지혜를 가지고 있으므로 잘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며 “미국이 한국에 중국을 겨냥하는 전략적인 무기를 배치한다면 어떤 후과(後果·좋지 못한 결과)가 있을지 여러분들은 충분히 상상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월 냉전시기인 1987년 당시 소련과 맺은 INF 조약과 관련해 이탈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이에 따라 올해 8월 INF는 효력을 상실했다. 이에 따라 미국이 새로운 중거리 미사일의 개발과 배치를 추진하고 있고, 한국과 일본 등이 배치 후보지로 거론되면서 중국과 러시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는 또 만약 중국과 미국, 그리고 러시아 등이 함께 새로운 핵전력 조약을 체결한다고 하더라도 이는 어디까지나 세 나라가 같은 수준으로 핵전력을 보유한다는 전제하에서만 이뤄질 수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 대사는 “만약 미국이 보유한 중거리 미사일 전력을 중국과 같은 수준으로 감소시킨다면 우리도 미국과 함께 군비 감축을 논의할 용의가 있다”면서 “그러나 비대칭적인 군비와 군사력 사이에서 미국과 중국이 군비 감축 규모가 동일하다면 이는 불공정한 일”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