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조선일보] 조선일보·한반도선진화재단 공동 기획 '2008 한국, 어디로 가야 하나?' [1] 경제
 
2009-02-02 18:13:24

[2009 한국, 어디로 가야 하나] 새 성장엔진 없이 수출만 '외줄타기'… 10년전부터 '시름시름'

 [1]경제분과: 한국경제의 문제점 조선일보·한반도선진화재단 공동 기획

 

대표집필 이인실 서강대 교수

 

 한국 경제는 글로벌 금융위기라는 외풍을 맞아 IMF외환위기 이후 10년 만에 처음으로 지난해 4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전년 동기 대비)로 추락했다. 그것도 큰 폭(-3.4%)으로 떨어졌다. 올해는 더 어려운 한 해가 예상된다. 한국 경제는 이 위기를 어떻게 뚫고 나가면서, 어떤 성장엔진을 통해‘위기를 기회로’바꿀 것인가? 한반도선진화재단(이사장·박세일 서울대 교수)과 조선일보는 신년 공동기획‘2009 한국, 어디로 가야 하나?’의 첫번째 주제로‘고용 있는 성장으로 가는 길’을 택했다. 11명의 경제학자 및 산업 전문가들이 두 차례에 걸친 토론을 거쳐 한국 경제가 안고 있는 취약점을 진단하고, 위기극복 및‘고용있는 성장’을 위한처방을 도출했다.

 최근 세계경제 위기 속에서 지금까지 한국은 기업·금융기관 부도사태를 맞지 않는 등 그런대로 버텨내고 있다. 하지만 한국경제가 오래전부터 안고 있는 취약고리에 해외발 충격이 덮칠 경우 심각한 위기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 또 이번 위기를 간신히 넘긴다 해도 한국경제가 강자로 남을 것인지는 불투명하다. 한국경제가 하루속히 치유해야 할 몇가지 취약고리를 꼽아본다.

 

 


 

 

① 성장잠재력의 하락

 

 1970~80년대에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며 7~8%의 높은 성장을 기록했다. 1990년대 들어서도 6%대 성장은 지속됐다. 2000년대 들어 4%대 성장에 머물렀다. 특히 카드 사태의 거품이 꺼진 2003년 이후 우리나라의 평균 성장률은 4.4%였다. 홍콩(평균 6.4%), 싱가포르(7.1%), 대만(4.9%) 등 과거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불렸던 경쟁국들 중에 가장 낮다.

 우리의 주력 산업은 성숙 단계로 접어들었는데 더 적극적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키워내지 못한 때문이다. 1997년 외환위기 이전까지 높은 증가세를 보이던 국내 투자는 2001년 이후 부진한 모습이다. 2008년에 설비 투자는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그 결과 성장의 추진력이 계속 약해지고 있다.

 

② 수출의 외양은 화려했지만…

 

 국민총소득(GNI) 대비 수출입 비중은 2001년의 85.9%에서 2007년에는 94.2%로 상승했다. 그만큼 대외 의존도가 높아졌다는 뜻이다.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수출도 내용을 들여다 보면 자신할 게 아니다. 순상품교역조건(한 단위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나타내는 지표)을 들여다 보면, 2005년을 100이라고 할 때 2002년에 130이던 것이 2008년 3분기에 78.0으로 하락했다. 원자재 가격은 올랐는데, 중국과 경쟁하느라 수출 단가를 낮추면서 힘겹게 시장을 뚫어왔기 때문이다. 그만큼 교역조건이 악화돼 왔다는 뜻이다. 그 결과 생산과 수출이 늘어나는 것만큼 비례해서 소득이 늘어나는 현상은 약해지고 있다. 외형적으로 경제성장률은 4%대인데, 실질 국민소득은 2~3% 늘어났다. 국민들의 실질 소득이 줄어들면 그만큼 구매력이 약화돼 내수가 부진해지는 함정에 빠져들게 된다.

 

 ③ '고용 없는 성장'으로 굳어지나

 

 '대기업·수출·제조업'에 의존한 성장 전략만으로는 새롭게 고용을 창출하는 데 한계가 있다. IMF외환위기 이후 대기업의 고용 비중은 줄고, 중소기업의 고용 비중이 높아져 왔기 때문이다.선진국 수준만큼 질 높은 서비스업이 성장한 것도 아니었다.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노동생산성은 미국 서비스산업에 비해 아직 24.7∼80.5% 수준이다.

 그 결과 고용률(15~64세 인구 중 취업자 비중)이 10년간 거의 정체 상태다. 1997년 60.9%에서 2008년에 59.5%로 낮아졌다. OECD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④ 외국인 투자 가로막는 벽

 

 국내 기업들은 해외에 적극 투자하는데, 그만큼 외국기업들을 국내로 끌어들이지는 못하고 있다. 저(低)성장과 낮은 고용률은 이런 투자의 공동화(空洞化)에도 원인이 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에 국내 기업들의 해외 직접투자는 46.3억달러 규모였다. 국내에 들어온 외국인직접투자(155.5억달러)는 그 3배가 넘었다.상황이 역전됐다. 국내 기업들의 해외 투자는 계속 늘어났는데, 국내로 들어오는 외국인직접투자는 줄었다. 2007년 외국인직접투자(105.1억달러)는 국내 기업의 해외 투자(274.8억달러)의 38.2%에 불과하다. 2008년에도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에 따르면, 세계 203개국 중에 한국에 순유입(유입에서 유출을 뺀 것)되는 외국인직접투자 규모는 2006년 50위였고, 2007년에는 59위로 밀려났다.

 

⑤ 늘어난 가계부채와 허약한 中企

 

 '저축이 미덕' 이라는 말은 옛말이다. 은행 빚을 내서 집 사고 소비하는 바람에 가계 부채가 사상 최대 수준으로 불어났다. 가계대출은 622.9조원(2008년 6월 말 현재)으로, 2000년(241.1조원)에 비하면 10년도 안돼 2.6배 늘어났다. 가계의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45.0%로, 카드대란 당시인 2002년 말(46.5%) 수준에 근접했다.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가계 대출의 부실화가 우려된다.

 중소기업의 체질도 아직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국내 중소기업은 전체 사업체 수의 99.9%, 고용의87.5%를 차지한다. 그러나 소기업에서 중기업으로, 중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도약한 기업이 그리 많지 않다. 국내 사업체당 평균 종업원 수는 4명으로, 미국(19명)이나 유럽(6명)에 비하면 영세하다. 한국 경제의 허리가 아직 취약하다는 뜻이다.

 


 

 

[2009 한국, 어디로 가야 하나] 중소기업·서비스업에서 '일자리 창출 돌파구' 찾아야

 

조선일보·한반도선진화재단 공동 기획 [1] 경제분과 : 위기 어떻게 풀까대기업들 수출로 번 돈 국내투자 한계 느끼자저임금 해외로 돌려… 이젠 中企가 '기회의 땅'

 

정리=강경희 기자 khkang@chosun.com

 

 현재 우리 정부의 위기 대응은 충분한가, 그리고 이것이 한국 경제의 장기(長期) 성장전략과 얼마나 맞물려 있는가?

 

 첫째, 최근 세계 경제 위기 상황에서 가장 절실한 리더십은 정부의 위기 관리(Crisis management) 능력이다.

 지난해 9월 리먼브러더스 파산으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정부 경제팀의 현실 인식과 위기 대응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만큼이나 오락가락해 신뢰를 받지 못했다.

 '강만수 경제팀'이 물러나고, 새 경제팀이 구원 투수로 등장할 올해도 녹록지 않다.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통상 1∼2년 지속되는 경기 침체가 아니라, 장기간에 걸친 저(低)성장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의 글로벌 경제위기 국면에서 가장 확실하게 예측할 수 있는 점은 '앞으로 세계 및 한국 경제가 어느 방향으로 갈지, 누구도 자신할 수 없다'는 사실뿐이다. 최악의 조건들이 동시에 겹치면 세계 경제가 깊은 침체의 늪으로 빠질 수도 있다. 쏟아진 정책 처방들이 효과를 발휘하기 시작해 올 하반기부터 경제 회복이 가시화된다면 자금 경색과 수요위축이 봄날 눈 녹듯 빠르게 사라질 수도 있다.

 해외발 쓰나미가 덮친 '시계(視界) 제로' 상황에서는 정부가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새 경제팀은 위기관리 전략으로 ▲앞으로 전개될 상황에 대비해 시나리오별 실천 과제를 준비하고▲긴급 상황에 투입할 20조~30조원 규모의 추가 공적자금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반드시 '고용 있는 성장'을 해야 하며, 중소기업과 서비스업에서 그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올해는 전 세계가 '마이너스 성장'과 더불어 '마이너스 고용'의 공포에 휩싸여 있다. 도요타 등 세계적 기업들도 줄줄이 감원을 발표했다. 한국도 올해 신규 취업이 3만~10만명가량 줄어들 것이라는 '마이너스 고용'의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성장만큼 고용이 안 따라주는 '고용 없는 성장'의 문제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치기 이전부터 한국이 앓아온 만성 질환이다. 처방전도 간단치 않다. 약효가 당장 나타나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선진국 경제를 지탱하는 핵심 원동력은 높은 고용률이다.

 한국이 선진국에 비해 성장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낮은 주된 이유는 그간의 경제 성장이 대기업 중심의 수출 증대에 의존해 왔기 때문이다. 최근 대기업들은 수출로 번 돈을 국내에 투자해 고용을 창출하지 않고, 중국 등 저임금의 나라로 투자를 돌리고 있다.

 따라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고용률을 높이려면 '성장이 고용을 창출한다'는 낡은 패러다임부터 벗어던져야 한다. 성장률 지상주의 대신 고용률 목표를 세우고 질 좋은 고용 창출에 정책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한국 경제는 IMF외환위기 이후 '대기업-수출 주도형 경제'라는 한쪽 바퀴를 굴리면서 '고용 없는 성장'을 이어왔다. 하지만 이번 세계경제 위기 과정에선 나머지 한쪽 바퀴, 즉 '중소기업과 서비스업(의료·교육 등)'을 신성장 동력으로 키우면서 '고용 있는 성장'을 이끌어내야 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아직도 구르는 공이다

美 부양책 성공이 관건

 

 

 지난해 9월 미국 투자은행 리먼브러더스의 파산 보호 신청으로 확산된 글로벌 금융위기는 구르는 공처럼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실물 경제로 옮겨 붙으면서 각국이 경기 침체, 자산가격 폭락, 수출 격감, 일자리 축소의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 중앙은행은 앞다투어 금리를 내리고, 정부 당국도 경제 살리기 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8190억달러의 경기 부양 패키지에 이어, 앞으로 2주 안에 금융시장 안정대책(일명 '빅뱅플랜')도 내놓을 예정이다. 지난달 31일 오바마 대통령은 주례 라디오·인터넷 연설에서 "급격히 피폐해지고 있는 미국 경제를 살리기 위해 기업 및 개인 채무자들의 신용 경색을 풀기 위한 새로운 조치를 발표하겠다"고 했다. 또 "주택 모기지 비용을 낮추고, 중소기업이 고용을 늘리도록 대출을 연장해줄 것"이라고 했다. 파이낸셜 타임스에 따르면, 빅뱅 플랜의 주요 골자는 ▲배드 뱅크를 설립해 금융권의 부실자산을 털어내고 ▲미국 재무부와 FRB(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공동기구를 통해 저금리 대출을 해주는 방식으로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 등이다.

 하지만 미국 내에서도 오바마 대통령의 경기 부양책을 놓고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의 땜질 처방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만일 세계경제 위기의 진앙인 미국에서 오바마의 대책이 실패로 끝날 경우 세계경제의 위기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최근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 인터넷판은 "미국이 지난해 7000억달러의 구제금융안을 통과시킨 데 이어 8190억달러의 추가 부양책을 내놓으면서 대규모 채권 발행으로 인한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미국이 대규모 부양책을 펼 경우, 장기적으로 미국의 부채 부담을 높이고 세계적인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을 촉발할 수 있는 것이다. 미국의 재정 적자가 개선되지 않는 한 장기적으로 달러화의 가치가 폭락하고 이에 따라 세계 경제가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미국 경제가 연착륙에 성공하느냐, 유럽·일본·중국 등 다른 나라들의 공조 대응이 얼마나 신속하게 이뤄지느냐에 세계경제의 미래가 달려있다.

 

 

 

공적자금 30조 추가조성 '부실' 더 도려낼 준비를

정부, 뭘 해야 하나

 

 시계(視界) 제로의 경제위기 상황에서 정부가 준비할 컨틴전시 플랜(contingency plan·위기대응 계획)은 크게 두 가지다. 우선 금융기관과 기업의 부실 사태에 대비해 대규모 공적자금을 만드는 것이다.

 경기 침체가 더 깊어지고, 부실 기업을 잘라내는 구조조정이 진행될수록 금융기관 부실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은행의 자기자본 확충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정부는 20조원의 은행자본확충펀드를 조성해 상반기에 투입한다는 계획인데, 규모도 충분치 않고 시기도 늦다. 1분기(1~3월) 내 은행에 투입을 마쳐야 한다.

 그렇게 해도 경기가 더 나빠지면 은행들이 BIS(국제결제은행)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챙기는 데 급급해지기 때문에 대출이 늘어난다는 보장도 없다. 그래서 새롭게 20조~30조원의 공적자금을 추가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가 적기(適期)에 공적자금을 투입하려면 현행 '금융산업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부실 금융기관 지정요건, 적기 시정조치의 조건 등을 완화해야 한다.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므로 가능한 한 빨리 준비해야 한다. 공적자금 조성에 부정적인 국회의 인식도 달라져야 한다.

 두 번째 컨틴전시 플랜으론 비상시 사적(私的) 거래나 대외거래에 정부가 개입할 수 있는 가칭 '긴급 경제조정법'의 제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것은 국가경제가 풍전등화의 초비상 상황에 처했을 때 쓸 수 있는 최후의 수단이 될 것이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332 [연합뉴스] 한국의 이념논쟁..진보를 말하다 09-03-19
331 [연합뉴스] 박세일 '여론 흔들릴 때 지식인 나서야' 09-03-19
330 [조선일보] 조선일보·한반도선진화재단 공동 기획 '2008 한국, 어디로 가야 하나?' .. 09-02-20
329 [신동아2월-서평] 창조적 선진화를 이룩하기 위한 선택 대한민국 국가전략 09-02-06
328 [조선일보] 조선일보·한반도선진화재단 공동 기획 '2008 한국, 어디로 가야 하나?' .. 09-02-02
327 [조선일보] 서평 "왼쪽? 오른쪽? 같이 가지 그래" 09-01-15
326 [세계일보] 서평 ' 미국 그늘 벗어난 독자적 세계전략 필요' 09-01-15
325 [서울경제] 대한민국 국가전략 서평 '선진화전략, 창조에서 찾아라' 09-01-15
324 [한국경제]책마을-대한민국 국가전략 "혼자 잘 살겠다는 마음은 버려" 09-01-15
323 [조선일보] 조선일보·한반도선진화재단 공동 기획 '2009 한국, 어디로 가야 하나?' 09-01-05
322 [중앙일보] 박세일 이사장 “북한, 시급한 건 민주화보다 산업화” 08-12-29
321 [연합뉴스] 21세기 한국호는 어디로 가야 하나 08-12-29
320 [참세상 정치] 박세일 이사장 "분단 반영구화 가능성 높다" 08-12-22
319 [중앙일보] [아듀! 2008] 갈피 잡지 못했던 학술계 08-12-16
318 [한경비지니스]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정부·진보 ‘우위’…한선재단 ‘약진’ - 분.. 08-12-16
317 [연합뉴스] 박세일 교수 '국가경영 고민하는 新정치세력 등장해야' 08-12-16
316 [중앙일보] 박세일 교수 “미국은 위기 극복 위해 연일 법 고치고 돈 푸는데 우리 정.. 08-12-16
315 [한국일보]박재완수석 '사회통합위 설치 검토' 08-12-15
314 [조선일보]"내년은 혹독한 겨울이 될 것" -선진화재단 심포지엄 08-12-15
313 [뉴시스]사회통합위 설치해야 08-12-15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