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한국일보] 금태섭, 공수처 반대 소신… “나쁜 정권 들어서면 충성 경쟁 우려”
 
2019-10-22 14:06:10

보수단체 ‘검찰 개혁’ 토론회… 장영수 고대 교수도 “대통령의 수족 될 가능성”


검사 출신인 더불어민주당 금태섭 의원이 보수단체 토론회에 참석해 문재인정부가 추진하는 검찰개혁 핵심과제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에 대해 “나쁜 정권이 들어서면 충성 경쟁으로 이어져 악용될 우려가 있다”며 또 한번 반대 취지의 소신을 밝혔다.


금 의원은 21일 바른사회운동연합과 한반도선진화재단 주최로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검찰개혁,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에서 “공수처는 세 가지 위험성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금 의원은 “지금 우리사회에서 새로운 권력기관이 더 필요한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며 “고위공직자만을 대상으로 수사권과 기소권, 두 가지를 모두 가진 기관이 세계 어느 국가에도 없다는 점에서 ‘글로벌 스탠다드’와도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한 “어떤 기관이든 만들어지면 할 일을 찾는데 공수처가 수사 대상인 판사ㆍ검사를 지나치게 감시해 자칫 활동을 위축시키는 등 악용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날 토론회의 주제 발제를 맡은 장영수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도 “공수처는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는 법안”이라며 “검찰개혁이 다른 개혁보다 우선시되는 것은 검찰조직 자체가 ‘정권의 시녀’ 노릇을 했다는 국민들의 인식 때문인데, 현재 논의되는 대로라면 공수처 역시 대통령의 새로운 수족이 될 우려가 크다”고 주장했다.


공수처장의 인사권을 검찰총장과 같이 대통령이 행사한다면 ‘제 2의 검찰’이 될 것이란 지적도 내놨다. 장 교수는 “국회에 공수처장 임명에 대한 거부권을 인정한다 해도 절대적인 방어장치는 되지 못할 것”이라며 “대통령의 오른손 칼을 왼손으로 옮기는 것이나 다를 바 없다”고 주장했다. 검사 출신 김종민 변호사 역시 “공수처는 대통령 직속 사찰수사기구”라며 “공수처 대신 특별수사기구를 법무부 산하에 분산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수처가 맡을 사건 범위가 광범위한 데 비해 규모가 너무 작다는 지적도 나왔다. 장 교수는 “국회에 계류된 공수처 법안은 공수처가 매우 많은 사건을 담당하게 해놓았으면서 규모는 고작 검사 25명 이내, 수사관 30인 이내로 한정하고 있다”며 “최근에는 중요 사건 하나에도 검사들이 50명 이상 투입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공수처의 인력 부족으로 부실한 수사가 많아질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 기사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전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215 [한국경제] "객관적 지표 없는 노란봉투법, 해석자 따라 결론 달라져" 25-09-12
2214 [조선일보] ‘北核 위협’ 담은 영문 서적 펴낸 박휘락 교수 25-09-01
2213 [매일신문] "핵 고려시 北군사력 南보다 30% 우월"…"美핵우산 반드시 필요" 25-08-29
2212 [뉴데일리] 북핵은 현실, 전략은 부족 … 한기호 "우수 과학기술로 북핵 무력화는 개.. 25-08-29
2211 [한국경제TV] 美 핵우산 걷힌다면…"北군사력 南보다 우월" 25-08-29
2210 [연합뉴스] "핵 고려시 北군사력 南보다 우월…美핵우산 반드시 필요" 25-08-29
2209 [주간조선] '노란봉투법' 줄소송과 위헌 논란 번진다 25-08-25
2208 [아시아투데이] ‘공감 사라진 극단의 정치 어디까지 왔나 25-08-14
2207 [주간조선] "노란봉투법, 현 상태로 통과되면 파장 크다" 25-07-14
2206 [에너지경제] 강성진 차기 한국경제학회장 “에너지고속도로보다는 분산에너지 인프.. 25-07-09
2205 [유튜브 - 삼프로TV] 금 모으기, 새마을운동 정신이 사라진 이유 25-07-07
2204 [주간조선] 대한민국이 난파선이 되어가는 세 가지 이유 25-07-07
2203 [문화일보] “北, 해킹으로 연 1조원 불법 외화벌이” 25-06-20
2202 [서울경제] “보편적 지원금은 지속 불가능…저소득층에 집중해야” 25-06-18
2201 [팬앤마이크] 북한 전문 매체 "트럼프, 수차례 대화 시도했으나 김정은이 거듭 고사.. 25-06-12
2200 [파이낸셜뉴스] ‘노란봉투법’… 손배 책임·재산권 침해 논란, TV토론 계기로 재점화 25-05-21
2199 [문화일보] “새 정부, AI 기반 첨단 국방체계 전환…대통령 직속 독립적인 국가정보.. 25-05-21
2198 [스카이데일리] “새 정부, AI 기반 첨단 국방체계 전환해야” 25-05-21
2197 [주간조선] "의료를 국가전략산업으로 인식해야" 25-05-12
2196 [독립신문] 한반도선진화재단, 국가대전환시대 11대 정책제안 발표 25-05-09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