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중앙SUNDAY] 미완의 개혁가 박세일 일대기
 
2019-02-01 10:44:18

경세가 위공 박세일 
최창근 지음 
한반도선진화재단

한국처럼 이념 갈등이 심한 나라에서 중도가 가능할까? 이런 질문에 해답을 찾아보려고 할 때 피해갈 수 없는 인물 중에 박세일(1948~2017)이 있다. 노동경제학 교수, 경제정의실천연합 창립, 김영삼정부 정책기획수서비서관 등을 역임한 그가 한반도선진화재단 등을 통해 구현하려고 한 이론이 ‘공동체자유주의’이다. 

공동체자유주의는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의 장점을 결합시키려는 이론이다. 한마디로 공동체를 소중히 하는 자유주의를 실현하자는 주장이다. “보수는 철학이 없고, 진보는 정책이 없다”고 일갈하며 그가 내놓은 해답이었다. 우파가 중시하는 자유주의에서 국가발전의 원리를 끌어내고, 좌파가 중시하는 공동체주의에서 국민통합의 원리를 찾아내려고 했다. 이를 위해 ‘국민생각’이란 정당도 만들어 보고, 타계 직전까지 ‘대한민국 국민포럼’을 이끌기도 했다. 위암 투병, 향년 69세의 비교적 이른 타계는 모든 것을 ‘미완의 중도개혁’으로 남겨 놓았다. 
  
이 책에서 박세일의 꿈과 삶을 다시 살펴보게 된다. 어린 시절의 가난, 대학 시절 학생운동 경험, 유학과 결혼에 얽힌 에피소드 등을 일대기 형태로 풀어냈다. 요즘 연탄가스를 아는 젊은이는 많지 않을 것이다. 서울법대 3학년(1968년) 때 연탄가스 중독으로 그의 할머니, 아버지, 여동생이 한꺼번에 세상을 떠났다. 그가 평생 잊지 못한 아픔이었던 것 같다. 


◆ 기사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전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1935 [데일리안] [기업 규제 포비아①] 다중대표소송제, 투기자본·경쟁자 공격에 기업 '무.. 20-12-16
1934 [서울경제] "민주 이름으로 민주주의 흔드는 '민주독재'…오기·독선의 '文주주의' " .. 20-12-15
1933 [서울경제] '사생결단 대결 정치 일상화…文정권, 민주주의 훼손하며 '문근혜'로 전락' 20-12-15
1932 [문화일보] 경제계 “‘3%룰’ 완화해도 분리선임 그대로 놔두면 의미없어” 20-12-09
1931 [조세신문] 송경학 세무사 집필 '세금의 배신' 20-12-09
1930 [데일리안] 미국 대선 '침묵' 북한, 바이든 겨냥 '저강도 도발' 나설까 20-12-04
1929 [주간동아] “한국 GDP의 2.3배인 독일, 정책변경 후 1조 손실 내도 유권자가 응징한.. 20-12-03
1928 [스카이데일리] 한국외교는 ‘안미경중(安美經中)’이 해답이다 20-12-02
1927 [문화일보] “文의 침묵·불통이 레임덕 앞당길 것” 20-12-01
1926 [헤럴드경제] 11월에만 3번 '탄소제로' 회의…코로나에도 맘만 급한 정부 20-12-01
1925 [한국경제] "감사 자리 뺏길 바엔"…기업들, 자회사 합병후 상장폐지 '도미노' 20-12-01
1924 [HelloDD] 원자력진흥위 사표 던졌던 손양훈 "과학에 정치가 개입" 20-11-30
1923 [DAILY NK] 기업소법 개정…추락하는 북한 경제에 성장동력으로 작용? 20-11-27
1922 [헤럴드경제] 준비 미흡한데 2050년 탄소제로 정부 나홀로 '속도전' 20-11-27
1921 [조선일보] 터 잡아놓은 신한울 3·4호기 ‘백지화 대못’ 20-11-27
1920 [서울신문] 법정 간 ‘항공 빅딜’… “생존 자금 지원” vs “경영권 방어용” 20-11-26
1919 [문화일보] 국민의힘 “文대통령, 법치주의 파괴한 秋장관 해임 조치하라” 20-11-26
1918 [서울경제] 최준선 교수 "3%룰, 소수주주 권익 아닌 투기자본 보호로 변질될 것" 20-11-25
1917 [중앙일보] 4월, 9월…12월 또? 소비 빙하기 ‘트리플딥’ 위기 20-11-24
1916 [매일경제] "대주주 의결권 0% 제약…전세계 어디에도 없다" 20-11-23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