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문화일보] “경제논리 아닌 진영논리 ‘소득주도성장’에 국민만 고생… 폐기해야”
 
2018-12-11 10:39:46

양준모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를 만난 날은 공교롭게도 한국은행이 1년여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날이었다. 과거 한국은행에서 근무한 적이 있는 양 교수는 이날 기준금리 인상을 정상적인 경제 분석에 의한 ‘정상적인’ 결정으로 보지 않았다. 다분히 정치적인 선택의 결과라는 냄새가 짙게 배어 나온다는 것이다. 양 교수는 문재인 정부 들어서 이런 ‘경제 정책의 정치화’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이 그렇고,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그렇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대표적인 경제 정책인 소득주도성장 정책은 이런 현상을 유발한 중심 한가운데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경제학자로서 그 같은 상황은 받아들이기 힘든 일이라고 말했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은 즉각 폐기해야 할 정책이라고 그는 일갈했다. 소득주도성장론은 경제 정책도, 복지 정책도 아니라고 신랄하게 비판했다. 경제학자로서 경제원리에도 맞지 않고 증명되지도 않은 논리라며 열변을 토했다. 국가 경제의 미래를 생각하고, 진심으로 국민 경제를 걱정한다면 ‘성장’도 ‘복지’도 아닌 정체불명의 정책을 당장 거둬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양 교수는 왜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이처럼 거친 반응을 보이는 것일까? 양 교수와의 만남에서 그에 대한 답이 가장 듣고 싶은 얘기였지만, 우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견해부터 들어봤다.

―한은이 1년여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이를 두고 시기를 놓친 것 아니냐, 경기 침체 국면에 금리 인상이 맞는 것이냐는 등 말이 많다.

“경제적 결정이라기보다 정치적 결정이라고 생각한다. 여당에서 몇몇 분이 이미 (금리 인상을) 이야기도 했고, 그런 압력이 들어간 것으로 봐야 한다. 부동산도 마냥 놔둘 수 없는 상황이고, 미국 금리와 우리나라 금리 차도 그렇고.”

―당장 자금유출이 걱정되는 상황인데.

“나는 1년 반 전부터 우리나라가 금리를 ‘낮게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자금유출 문제를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자금유출이 쉽지 않다. 통계로 봐도 그렇다. 환율 결정과 자금유출 결정 요인은 다차원적으로 성립되기 때문이다. 환율의 추세적인 방향성과 주식시장을 봐야 한다. 주식시장의 활황세와 환율의 평가 절상 기조 등을 봤을 때 급격한 자금유출 가능성은 적다. 그럼에도 이번 인상 결정은 다소 성급했다고 본다. 미국의 경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압력인지 몰라도 금리 인상을 자제하고 있다. 좀 지켜보고 올해를 넘겼으면 어땠을까 싶다. 다만, 이번 금리 인상으로 우리 경제에 엄청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0.25%포인트 높였다고 대한민국이 망하지는 않는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관해 얘기했으면 한다. 평소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폐기를 주장하고 있는데.

“소득주도성장 정책은 기본적으로 정책으로서의 기본 요건을 갖추지 못한 설익은 정책이다. 목표가 경제 성장이라고 한다면 경제 성장을 위해 필요한 기술혁신과 규제 완화, 그리고 저축 증대 등의 정책을 펴야 한다. 그러나 정부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정책 수단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경제 정책은 현재의 경제 상황을 평가하고, 그 평가를 바탕으로 단기정책과 장기정책으로 분리해 시행해야 한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은 장기적 비전은 고사하고 단기적 처방도 없는 정책이다. 일부 정책 당국자는 우리나라 소득분배가 악화하면서 저성장이 지속되고 있다는 논리를 펴고 있지만, 이런 인식은 통계적으로도 사실이 아니고 오히려 소득주도성장으로 분배가 악화되고 있다.”


◆ 인터뷰 전문은 아래 [인터뷰 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뷰 전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1652 [문화일보] 청년수당 준다고 실업문제 해결 안돼… 공기관부터 ‘일자리나누기’ 앞장.. 18-12-11
1651 [문화일보] “경제논리 아닌 진영논리 ‘소득주도성장’에 국민만 고생… 폐기해야” 18-12-11
1650 [조선일보] 박휘락 "文정부, 막연하게 北 믿고 안보 해체중" 18-12-11
1649 [베이비타임즈]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여성위원회 출범 18-12-03
1648 [문화일보] “출산·육아만 중시하는 가족정책 벗어나 양성평등 가치 지향을” 18-12-03
1647 [경북신문] 송언석 의원 ˝510만 청년들, 소득주도성장으로 피해˝ 18-11-22
1646 [경북도민일보] 청년이 바라본 소득주도성장 문제점과 대안 18-11-22
1645 [대구일보] 청년이 본 소득주도성장 송언석 의원 토론회 개최 18-11-22
1644 [대경일보] 송언석 의원, “청년들이 소득주도성장의 가장 큰 피해자” 18-11-22
1643 [아시아투데이] 현금지원 아닌 공정한 일자리 원하는 청년들 18-11-22
1642 [대구신문] "소득주도성장 가장 큰 피해자는 510만 명 청년들" 18-11-22
1641 [한국경제] "우리가 원하는 건 공정한 일자리…반짝 현금지원은 아무 도움 안돼" 18-11-22
1640 [뉴데일리] "역차별, 몰상식, 비효율적"… 文경제, 20대한테 혼났다 18-11-22
1639 [문화일보] “공정한 일자리 원할 뿐 …한시적 현금지원은 수박 겉핥기” 18-11-22
1638 [뉴데일리] 박용호 한반도선진화재단 청년정책연구회장 18-11-22
1637 [뉴데일리] 한반도선진화재단 '청년이 바라본 소득주도성장' 세미나 개최 18-11-22
1636 [뉴데일리] 인사말하는 박수영 한국선진화재단 대표 18-11-22
1635 [뉴데일리] 국민의례하는 박정이 전 육군 사령관 18-11-22
1634 [조선일보] "당론에 예속되지 않게, 의원 자율성 제도화해야" 18-11-22
1633 [한국경제] "정상국회 되려면 국회의원의 지나친 정당 예속 안돼" 바른사회운동연합.. 18-11-22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