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통찰력 부족으로 위기 자초"
(서울=연합뉴스) 김종우 기자 = 윤여준 전 한나라당 의원은 16일 "지금 이명박 정권은 국민의 지지를 받는 데 필수요건인 도덕성과 효율성, 적실성 등 세가지 모두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대통령 리더십에 대한 인식 전환을 강조했다.
윤 전 의원은 이날 오후 한반도 선진화재단이 주최하는 `위기의 한국, 진단과 처방' 세미나에 앞서 미리 배포한 주제 발표문에서 이 같이 지적한 뒤 "대통령의 리더십을 국가의 최상위 제도로 공공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리더십의 성패는 그 권위와 신뢰에 달려있다"고 전제, "권위가 뒷받침되지 않는 권력은 폭력이며 신뢰가 따르지 않는 권력은 무력(無力)한 것이다. 이명박 정부가 권위와 신뢰를 잃게된 것은 통찰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하면서 시대의 변화를 제대로 읽지 못했고 정치에 대한 이해부족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윤 전 의원은 우선 "한국사회가 지난 10년간 정보화와 세계화의 급속한 진전 속에 시민사회가 혁명적 수준으로 발전했는 데도 이 대통령이 취임 후 보여준 것은 이 같은 시대적 변화와는 동떨어진 `독주형 리더십'이었다"고 했다.
일방적 정책결정과 국민과의 소통부족은 국민들에게 `오만'으로 비쳐지면서 쇠고기 협상을 계기로 `거리의 정치', `광장의 정치'를 부활시켰다는 것.
윤 전 의원은 또 "이 대통령이 당선 직후 여의도식 정치에서 벗어난 국가경영에 전념하겠다고 했지만 이는 불행히도 경영적 리더십과 정치적 리더십 사이에는 상당한 간극이 있다는 것을 간과한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이 대통령은 정당과 국회를 통해 국민과 소통하고 설득하는 과정이 정치라는 점을 이해하지 못하고 오히려 이 과정을 낭비와 비효율로 치부했다는 것.
그는 이어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에서 나타난 오류로 ▲지지기반에 대한 경시 ▲대통령의 언행불일치로 인한 신뢰의 상실 ▲`강부자.고소영'으로 대표되는 인사실패 등 권력의 사유화 현상 등을 꼬집었다.
윤 전 의원은 "이 나라와 우리 국민을 위해 이명박 정부가 반드시 성공하기를 바란다"면서 "그 첫번째 길은 대통령의 리더십을 개인이 아닌 국가의 최상위 제도로 공공화하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jongwoo@yna.co.kr 기사입력 2008-07-16 09:56 |최종수정2008-07-16 1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