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1-02 09:43:03
재경ㆍ산자ㆍ교육ㆍ정통 등 5~7곳 재정비 | |||||||||
당선자 "숫자보다 기능에 초점" 공무원수 감축은 추진 안할듯 | |||||||||
◆ `경제 컨트롤 타워` 복원 추진 = 사공일 선대위 국가경쟁력강화특위 위원장은 30일 정부조직 개편과 관련해 "기능 중심으로 개편하도록 하고, 정부부처 숫자에 구애받지 말라는 이 당선자의 말씀은 아주 중요하고 이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며 "경제부처와 관련해서는 약화된 기획ㆍ조정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한 가지 원칙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정책은 제한된 자원을 우선순위에 따라 배분하는 것이고 정부 부처 안에서도 우선순위를 정해둘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사공 위원장은 "정부가 할 일과 안 할 일을 정하되, 정부가 할 일은 수에 얽매이지 말고 하자는 것"이라며 "유럽 선진국과 싱가포르 등 `잘 하는 나라`가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발언은 한반도선진화재단(이사장 박세일)이 제시한 `1원 10부 2처` 개편안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 개편안에는 현 재정경제부의 경제정책 기능과 기획예산처의 예산 기능을 합쳐 가칭 국가전략기획원을 두는 방안이 제시돼 있다. 금융 조세 등 나머지 재경부 업무는 축소될 재무부에 맡기는 안이다. 이와 관련해 인수위 관계자는 "인수위에서 논의할 사안으로 아직까지 확정된 내용은 전혀 없다"면서도 "이명박 정부가 맞게 될 향후 5년 간의 국내외 경제환경과 정책수행 효율성을 감안할 때 경제부총리가 예산권을 갖고 정책조정을 해 나가는 방안이 검토됐다"고 소개했다. ◆ 개편 대상 5~7개 부처에 그칠 수도 = 이 당선자가 지난 29일 인수위 첫 워크숍에서 "정부 조직개편을 최우선으로 두되 숫자보다는 기능에 초점을 맞추라"고 지시함에 따라 개편 대상에 포함되는 중앙 정부조직이 5~7개 부처에 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한 인수위 관계자는 "공무원 인원 감축을 생각하지 않고 있는 만큼 부처 수는 중요하지 않다"며 "시대 변화에 따라 기능이 변화한 정부 부처와 기능이 중복되는 부처의 기능을 통폐합하는 데 역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조직 개편의 목표와 지향점은 대국민 서비스 수준을 높이고 정부 규제를 풀어 기업투자를 활성화한다는 것"이라며 "집권 초기 할 일을 하기 위해서는 공무원사회의 안정이 중요하다는 점도 깊이 인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능 재조정 가능성이 거론되는 정부 부처로는 재정경제부, 기획예산처, 교육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중소기업청 등이 첫 손가락에 꼽힌다. 재경부 예산처는 예산권한을 바탕으로 한 강력한 기획ㆍ조정능력 차원에서,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중소기업청은 중복 기능 해소와 기업규제 최소화 차원에서 조직개편 수술대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 교육부 개편에 대해선 이 당선자가 이미 "대학입시 등 학생 선발에 관련된 교육부 기능은 일선 지자체(시ㆍ도 교육감)나 대학으로 대거 이관할 필요가 있다"고 누차 강조했다. 또 방송과 통신 융합이라는 시대 조류에 맞춰 방송ㆍ통신위원회 등 관련 정부 조직도 통폐합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 국회 통과 가능성도 고려해야 = 정부조직 개편 실무작업을 총괄하는 박재완 정부혁신ㆍ규제개혁 TF팀장은 "내년 1월 중순까지 인수위에서 개편안을 만든 뒤 1월 하순 임시국회에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상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현재 한나라당 의석수는 127석으로 원내 과반수(150석)에 크게 못미쳐 대통합민주당 등 범여권 동의를 이끌어내지 못하면 사실상 법 개정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정부조직 개편 폭이 예상 외로 작을 수 있다는 관측은 이런 국회 상황 속에서도 나온다. 한나라당 고위 당직자는 "인수위가 부처 숫자나 전체 공무원 수를 대폭 축소하는 방향으로 개편안을 만들면 내년 1월 임시국회 통과는 사실상 어려워진다"며 "현실적으로 여권도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개편안을 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설진훈 기자 / 이진우 기자] |
번호 |
제목 |
날짜 |
---|---|---|
172 | [매일경제] 사공일 위원장 "경제 컨트롤타워 복원 추진" | 08-01-02 |
171 | [매일경제] 재경ㆍ산자ㆍ교육ㆍ정통 등 5~7곳 재정비 | 08-01-02 |
170 | [연합뉴스] '설설(說說)' 끓는 정부조직 개편 | 08-01-02 |
169 | [이데일리] 정부조직개편 윤곽 드러날까 | 08-01-02 |
168 | [데일리안] 선진화 운동을 위한 필수 3요소 | 08-01-02 |
167 | [데일리안] 전략-책무 강화된 서비스형 작은 정부 | 08-01-02 |
166 | [한경비지니스] ‘작지만 효율적으로’… 대수술 예고 | 08-01-02 |
165 | [헤럴드경제] 공정 경쟁 보장해야 시장경제 발전 | 08-01-02 |
164 | [헤럴드경제] 시장경제와 법치주의 없는 선진화는 공염불 | 07-12-28 |
163 | [헤럴드경제] 극한 대결 종식…‘협력적 노사’ 시대 열어라 | 07-12-28 |
162 | [한국경제] 차기정부 시간낭비ㆍ혼란 없이 새롭게 출범 | 07-12-28 |
161 | [데일리안] ‘나누고 낮추고 넓히는’ 농업선진화와 세제개혁 | 07-12-28 |
160 | [경향신문] 눈길끄는 정부조직 개편안…“통일·행자부 ‘처’ 로 축소” | 07-12-28 |
159 | [경향신문] 내달 중순 정부조직 개편·내달말 조각 단행 | 07-12-28 |
158 | [파이낸셜뉴스] “정부 개편안 2008년 1월 중순 마련” | 07-12-28 |
157 | [연합뉴스] 정부조직개편 급물살..방향 주목 | 07-12-28 |
156 | [연합뉴스] 한선재단 '선진화정책시리즈' 2,3권 발간 | 07-12-28 |
155 | [데일리안] 이 당선자측 "정부조직 개편,공무원 동요말라" | 07-12-28 |
154 | [프리존뉴스] 인수위 "정부조직개편 우선 처리" | 07-12-28 |
153 | [데일리안] 세계화, 다원화에 대비한 경쟁력있는 복합체제 구축 | 07-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