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사드 보복 / '사드 후폭풍' 전문가 해법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한반도 배치에 따른 후폭풍이 거세다. 중국은 연일 사드 배치를 꼬투리 잡아 한국 기업에 치졸한 보복을 감행하고 있다. 수교 25주년을 맞은 한중 관계는 사상 최악의 상태로 꼬여 버렸다. 이럴 때일수록 국론을 모아 중국의 보복에 당하고 있는 한국 기업을 국민 스스로가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매일경제신문은 외교·경제 전문가 5명으로부터 한중 간 사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해법을 들어봤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사드 배치를 꼬투리 잡아 각종 보복을 하는 것 자체가 '중국에도 손해가 된다'는 사실을 보여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기회에 대중국 무역 의존도를 낮추고 교역 상대국을 다변화하는 형태로 수출 구조를 재편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또 국제기구를 통해 공식적으로 문제 제기를 하고, 중국이 취하는 일련의 조치가 한국과 맺은 양자 협정에 위배되는지를 파악하라고 했다.
강인수 현대경제연구원 원장은 "한중 간 교역 구조를 보면 중간재 부품이 많다"며 "만일 양국 간 중간재 교역이 줄어들면 이는 중국에도 피해가 간다는 사실을 적극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이 제3국으로 수출하는 완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한국산 중간재가 필요하기 때문에 사드 보복이 확대될 경우 중국 수출에도 '빨간불'이 켜질 수 있음을 인식시켜야 한다는 얘기다. 실제 중국 수입 시장에서 한국은 최근 3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 기사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