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프리존 뉴스] 청년들, 대한민국 선진화를 논하다
 
2007-08-02 15:20:43
청년들, 대한민국 선진화를 논하다
한반도선진화재단 제 1회 선진화청년포럼
2007-08-01 오후 8:23:50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박세일.ⓒ 프리존뉴스
1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박세일)은 우리나라의 선진화에 대해 대학생들의 의견을 들어보는 '제 1회 선진화청년포럼'을 열었다.

배재학술지원센터 세미나실에서 열린 이번 포럼은 한반도선진화재단의 박세일 이사장이 '대한민국 선진화 4대 전략'을 주제로 한 기조 발제로 시작됐다.

박 이사장은 21세기에 진입하면서 대한민국은 '민주화 다음'의 국가목표 내지 국가비전을 찾지 못하고 흔들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선진화 혁명'이 우리들이 나아갈 국가목표이고 비전이라고 말했다.

그는 세계화 전략, 자유화 전략, 공동체 재창조, 국가리더십 개혁을 '4대 선진화 전략'으로 소개했다.

박 이사장은 반드시 10~15년 안에 선진국 진입에 성공해야 한다는 말로 기조발제를 마무리 했다.

 
▲포럼에 참석한 패널들.ⓒ 프리존뉴스
이어서 참석한 대학생들의 발표가 있었다.

김영준(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학생은 북한 인권문제를 중심으로 '한반도 선진화를 위한 대북정책'에 대해 발표했다. 북한 인권문제에 관심이 많다고 한 김영준 학생은 국내외 시민단체들과 다른 나라들에서도 관심을 가지는 북한인권에 우리나라 정부가 침묵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변옥기(동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생은 '정치개혁에 관하여'를 주제로 프랑스에서 운영되고 있는 이원집정부제를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해 주목을 끌었다. 또한, 국회의원 1인당 받을 수 있는 정치자금이 한정되어 있는 현 정치자금법을 개혁해 지지자 1인당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은 제한을 두되 국회의원이 받을 수 있는 정치자금의 제한은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석(일리노이대학교 회계학과) 학생은 국가 발전을 위해 대도시의 번영은 필수적이고, 그래서 플라잉 기스 모델(flying gease model)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로 인해 생기는 소득 불평등과 좁혀질 수 없는 빈부격차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대도시 집중 번성이라는 전략은 검토를 잘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각 패널들의 발표 이후에 '통일 문제', '도시발전 문제', '정치 개혁' 에 관해 참관자들과 패널들사이에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수준높은 대학생들의 발표와 토론에 박세일 이사장은 "처음으로 열린 이번 선진화청년포럼의 내용이 만족스럽다"며 "다음 포럼에도 이렇게 수준이 높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조현우 인턴기자 (chw83@freezonenews.com)
  목록  
번호
제목
날짜
92 [데일리안] ‘금융외교 네트워크’ 체제 구축하라 07-09-11
91 [데일리안] "정부는 기자들과 공동위원회 구성하라" 07-09-06
90 [업코리아] 공무원 총정원 감축 관리제를 도입하라 07-09-06
89 [업코리아] 정부는 기자들과의 공동위원회를 구성 하라 07-09-04
88 [업코리아] 10.2 남북정상회담 4대 의제의 위험성과 그 대응 방안 07-08-30
87 [조선일보] 홍보처, 국민 ‘알 권리’ 놓고 흥정하나 07-08-29
86 [데일리안] [기고]제2차 남북정상회담을 둘러싼 3대 의혹 07-08-28
85 [연합뉴스]손태규 교수 "언론 지도 발상은 권위주의적" 07-08-28
84 [문화일보] 담론 주도하는 뉴라이트 단체들 07-08-16
83 [데일리NK] 박세일 “대북정책 목표는 북한동포의 고통해소” 07-08-02
82 [프리존 뉴스] 청년들, 대한민국 선진화를 논하다 07-08-02
81 제1회 선진화청년포럼 07-08-02
80 [데일리안] 대한민국 선진화 위해 나선 20대 ´젊은 피´들 07-08-02
79 [연합뉴스] 제1회 선진화청년포럼 개최 07-08-02
78 [조선일보] 90개 단체 ‘대한민국 선진화 전진대회’ 07-07-19
77 [헤럴드경제] "산업화 - 민주화를 넘어 이제 선진화다. 적절한 당근 - 채찍 ... 北 .. 07-06-22
76 [코리아타임즈] Public Indifference Hampers Policy-Oriented Campaign 07-06-21
75 [헤럴드경제] 남북교류 ‘큰 진전’…신뢰구축은 ‘답보’ 07-06-21
74 [한겨례] “제대로 된 정책세력 등장한 적 있었나” 07-06-19
73 [조선일보] 한국선진화정책학회장 이승훈 교수 07-05-3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