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의 공무원 정책이, 더 편하게 쉬면서 일은 최대한 적게 하는 방향으로 빗나가고 있다. 인사혁신처는 21일 발표한 ‘공무원 근무 혁신
지침’을 통해 “1인당 2200시간 이상인 연간 근로시간을 매년 100시간씩 줄여 2018년에는 1900시간대로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초과근무를 매년 10% 이상씩 줄이고, 연가(年暇)는 현행보다 2배 이상 사용토록 권장하면서, 출퇴근 시간을 자율 조정하는
‘시차(時差)출퇴근제’뿐 아니라 주당 40시간 범위 내에서 부서 전체가 근무일 및 근무시간을 자율적으로 설계하는 ‘유연근무제’도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이는 행정의 수요자인 국민보다 공급자인 공복(公僕)의 편익을 앞세운 발상으로, ‘혁신 지침’ 용어부터 듣기 민망하다.
월~수요일은 매일 12시간씩, 목요일은 4시간만 근무하며, 금·토·일 3일을 부서 전체가 휴무하는 ‘주당 3.5일 근무 체제’로의 유연근무제
확대는 대표적인 예다. 행정 부서가 자체 결정으로 평일에도 정례적으로 문을 닫을 수 있게 하면서 ‘국민을 위한 행정’이라고 우길 수는 없을
것이다. 시차 출퇴근 확대와 함께 초과근무 총량을 최근 3년 평균의 90% 이하로 유지하는 식으로 축소해나간다는 것도 비현실적이긴 마찬가지다. 경찰·소방·우정·방호 등
특수성이 있는 기관에는 탄력적으로 운용하겠다지만, 다른 업무 분야도 일률적 적용은 국민 불편으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 기사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013 | [파이낸셜 뉴스] "방사청, 국방부 직속으로 바꿔 전문인력 확보에 주력해야" | 16-03-21 |
1012 | [파이낸셜 뉴스] 세계 9위 기술력으로 안방만 지켜.. 방산 수출·영업익 매년 내리막길 | 16-03-15 |
1011 | [매일경제] `장애인 이동권 신장`…새누리 공약은 참신 | 16-03-14 |
1010 | [매일경제] 어르신 의료비 개선, 의료 과잉·남발만…기초연금 30만원 상향, 지금도 .. | 16-03-14 |
1009 | [문화일보] 韓 국방예산, GDP의 2.41%… 분쟁국 레바논·이란보다 낮아 | 16-03-11 |
1008 | [데일리안] 한국 국방비 많다고? 분쟁국가중에선 '초라한 수준' | 16-03-11 |
1007 | [매일경제] 총선發 `무상시리즈`가 시작되다 | 16-03-07 |
1006 | [매일경제] "희망 못주는 정치권 10년전보다 정책 퇴보" | 16-03-07 |
1005 | [매일경제] 민간기업 강제이전·부실가계 퍼주기…票퓰리즘 공약 논란 | 16-03-07 |
1004 | [매일경제] 더민주 `임금분포공시제` 기업·직종간 임금 낱낱이 밝혀야 | 16-03-07 |
1003 | [매일경제] 재원마련 뿌리없는데…일자리·복지 장밋빛 전망 무성 | 16-03-07 |
1002 | [매일경제] 포퓰리즘 공약감시단은…각료출신·학자 50명 참여 | 16-03-07 |
1001 | [문화일보] 사드포대 ‘1+2 방식’ 부상 | 16-03-07 |
1000 | [세계일보] "이번이 북핵 막을 마지막 기회" | 16-03-02 |
999 | [문화일보] 공무원, 근무시간 단축보다 低성과자 퇴출 강화해야 | 16-02-22 |
998 | [동아일보] 민간은 주 3.5일 야근, 공무원은 주 3.5일 근무 장려 | 16-02-22 |
997 | [서울신문] 수준 미달 공직역량 이대로 두면 미래 없다 | 16-02-22 |
996 | [국민일보] 역량은 처지면서 높은 대우 받는 한국 공무원들 | 16-02-22 |
995 | [조선일보] "한국공무원 역량, OECD 평균에도 못미쳐" | 16-02-22 |
994 | [KBS뉴스] “나이들수록 역량 추락” | 16-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