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2-21 13:32:22
[美 제로금리시대 마감]
[美 금리인상, 한국경제 어디로]<2>경제 체질개선 ‘발등의 불’
“돈잔치는 끝났다. 이제 곧 ‘숙취(hangover·행오버)’가 찾아올 것이다.”
16일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벌어질 현상을 놓고 국내외 경제전문가들과 외신들이 내놓는 분석이다. 글로벌 금융위기라는 중병을 앓은 세계 경제는 양적 완화 같은 응급요법으로 일단 큰 고비를 넘긴 듯했다. 하지만 기초체력을 기르기보다 저금리라는 진통제에 의존해온 많은 나라가 금리 인상에 미처 대비하지 못한 채 다시 한 번 위기를 맞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숙취 현상’이 구조개혁을 등한시한 한국에도 찾아올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한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 저유가라는 절호의 기회를 맞았는데도 산업구조 개편, 노동시장 개혁, 부채 관리 등 지속 성장을 위한 구조 변화를 이루지 못한 채 다시 새로운 위기에 직면하게 됐다. 이제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글로벌 경제의 패러다임이 뒤집힌 만큼 더이상 구조개혁을 늦춰선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 기사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992 | [데일리안] 개성공단은 탄생부터 북의 협박 카드였다 | 16-02-17 |
991 | [코나스넷] 박휘락 교수, "김정은 등 北 수뇌부 제거의지 천명해야" | 16-02-17 |
990 | [동아일보][최영훈의 법과 사람]박근혜의 눈물과 한인섭의 페북질 | 16-02-15 |
989 | [조선일보] "햇볕도 압박도 총체적 실패… '北내부 변화'로 정책 바꿔야" | 16-02-15 |
988 | [조선일보] "통일은 댄스파티가 아니다… 희생이 있어야 평화도 온다" | 16-02-15 |
987 | [머니투데이] 악재 쏟아지는 한국경제, 풍랑속 출범 한달맞는 '유일호號' | 16-02-12 |
986 | [문화일보] 日 탄도미사일방어 능력, 韓보다 10년이상 앞서 | 16-02-02 |
985 | [아시아투데이] 박재완 전 장관 “한국경제, 과감한 구조개혁해야 미래 도모” | 16-01-28 |
984 | [매일경제] `민폐의 전당` 국회 대개조하자 | 16-01-26 |
983 | [연합뉴스] 시민단체도 '민생구하기 1천만 서명운동' 동참 | 16-01-21 |
982 | [철학문화연구소][특별좌담] 한반도 통일과 국제 정치·경제 역학 | 16-01-18 |
981 | [서울신문][실패에서 배운다 아차차!] <1> 박재완 前 기재부 장관 | 16-01-18 |
980 | [매일경제] `4·13 클린선거` 매경과 함께 | 16-01-08 |
979 | [연합뉴스] <선택 4·13> ⑤ 전문가 진단 "정치 대개혁 첫걸음돼야" | 16-01-04 |
978 | [연합뉴스] <선택 4·13> ② 20대 국회 과제는 '87년 체제' 극복 | 16-01-04 |
977 | [더스쿠프] 공감 능력 키워 대인배가 돼라 | 16-01-04 |
976 | [시사오늘] 박세일, "YS의 변화·개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 15-12-21 |
975 | [동아일보] 반짝 경기부양 더는 안통해… 산업재편 미룰 시간이 없다 | 15-12-21 |
974 | [연합뉴스] 한반도선진화재단, '국가재창조 3대전략' 보고서 발간 | 15-12-21 |
973 | [코나스넷] 김무성 "준비된 통일은 축복, 준비되지 않은 통일은 재앙" | 15-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