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문화일보] "큰 시장, 작은 정부’가 시대적 당위다"
 
2007-04-30 10:41:42

 

<사설> "큰 시장, 작은 정부’가 시대적 당위다"

 

[문화일보   2007-04-27 14:27:45] 
 
 
행정규제의 양(量)과 공무원의 수(數)는 비례한다. 공무원 조직은 견제가 없으면 팽창하려는 속성을 지닌다는 파킨슨의 법칙은여전히 유효하며, 그렇게 커진 공무원 조직은 민간의 이런저런일에 간섭하면서 새로운 규제를 만들어내게 마련이다. 정부가 크면 클수록 시장을 더 위축시키는 메커니즘이다.
 
뉴라이트재단 정책위원회와 한반도선진화재단이 26일 나란히 내놓은 보고서는 이같은 반(反)시장 흐름을 되돌려 ‘작은 정부,큰 시장’의 시대적 당위를 좇으라고 권하고 있다. 뉴라이트재단은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공무원 수와 정부예산 곧 국민세금이늘고 기업에 대한 간섭은 더 심해져 국가의 성장잠재력이 크게훼손됐다고 지적했다. 한반도선진화재단은 더 구체적으로 현행 18부 4처인 정부 조직을 ‘1원 10부 3처’로 감축해야 한다고 제안하는 동시에 최선의 기업투자 환경을 조성할 ‘21세기 신(新)성장 모형’을 제시했다.

두 재단 보고서가 우선 주목하는 것은 이처럼 노 정부의 일그러진 기업정책이다. 우리 역시 더 조밀해진 기업규제 리스트로 일자리와 세금 창출의 원천인 기업투자를 막아오면서 나라의 경영을 말하는 것 자체가 난센스와 다를 바 없다고 믿는다.

경제5단체는 하루 앞서 25일 8개 분야 123건의 규제개혁 과제를선별해 규제개혁위원회에 공동 건의했다. 직전일인 24일엔 조석래 전경련 회장이 “연못에 조약돌을 던지면 물고기가 흩어져버린다”고 비유하며 규제의 폐해를 지적했다. 노 정부가 겉으로‘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말하면서 실제로는 2003년 3월 7794개였던 규제총량을 2006년 6월 8029개로 늘려온 사실에 대한 재계의완곡한 질정(叱正)이라는 것이 우리 시각이다.

경제5단체의 규제개혁 건의에 대해 국무조정실은 26일 “적극 검토하겠다”면서 “경제활성화와 기업 경영 여건의 개선을 위해최대한 수용할 수 있도록 관련 부처와 협의할 것”이라고 했다.

‘화답’이 또 빈말로 기울어선 안된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72 [업코리아] “국민들은 한나라당에도 질렸다" 07-05-09
71 [한국경제] "차기정부 1원10부3처로 축소해야" 07-05-01
70 [코리아헤럴드] Institute proposes smaller government 07-05-01
69 [코리아타임즈] Conservatives Call for Small Government 07-05-01
68 [동아일보] "한반도 선진화 재단-뉴라이트 정책 비전 제시" 07-04-30
67 [조선일보] "사립고 시험 부활·홍보처 폐지를" 07-04-30
66 [국민일보] 右派의 ‘작은정부론’, 정책 대결 계기되길 07-04-30
65 [데일리NK] “대북정책 '北 정상국가화' 목표로 인권 다뤄야” 07-04-30
64 [대구신문] "차기 정부는 작은 정부돼야" 07-04-30
63 [문화일보] "큰 시장, 작은 정부’가 시대적 당위다" 07-04-30
62 [한국일보] "한반도선진화재단 "정부조직 1원 10부 3처로 축소" 07-04-30
61 [서울경제] "정부 1원 10부 3처로 축소해야" 07-04-30
60 [서울신문] “정부 10부3처로 축소해야” 07-04-30
59 [헤럴드경제] 작은정부ㆍ성장우선ㆍ글로벌화 07-03-30
58 [문화일보] “선진화 위해 청년지도자 키울 것” 07-03-30
57 [데일리안] 박세일 이사장 '한국선진화의길 대토론회' 참석 07-03-20
56 [업코리아] 노ㆍ사 나쁜 담합 심화 07-03-05
55 [통일뉴스]박세일, 새로운 흡수통일론 제기 07-02-09
54 21세기 새로운 대북정책 패러다임 07-02-09
53 [CNB뉴스] 박세일″한반도통일,도둑처럼 찾아올수 있다″ 07-02-07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