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6-08 15:41:35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자발적 기여방안(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INDCs)’도 현재의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강승진 한국산업기술대 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이사장 박재완) 주최로 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리는 정책세미나의 사전배포 발표자료를 통해 당초 예상했던 발전 설비의 원자력발전 비중이 41%에서 29%로 낮아진 점, 신재생에너지를 2030년 11% 보급하겠다는 시점이 2035년으로 5년 지연된 점, 그리고 2020년까지 일부 적용키로 했던 CCS(Carbon Capture & Storage, 온실가스 감축 핵심기술)의 상용화 시기가 불투명하게 된 점 등 국내의 온실가스 감축 여건이 변화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리나라는 당초 9월 제출할 예정이던 온실가스 감축 공약을 6월말까지 제출키로 결정한 바 있다.
◆ 기사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