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시사토크 판에는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이 출연했다.
국가 개혁에 굵직한 화두를 제시해 온 박 이사장은 최근 책 '21세기 한반도의 꿈 : 선진통일전략'의 출간으로 통일을 위한 전략과 필연성을 강조했다. 그는 "남북이 통일 과정에 돌입하고 통일에 성공하게 되면, 한반도 경제는 뛰어오르고 만주와 극동, 시베리아까지 발전을 맞이할 것이다. 동북아 전체가 역동적인 경제·사회발전의 지대가 되는 것이다. 한반도는 전 세계적 국가가 될 것이라 전망하며, 통일의 비전과 전략을 담았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대북정책에 대해 "지금 북한으로는 통일이 어렵다. 돌이켜보면 진보와 보수, 여야를 가리지 않고 대북정책의 목표가 통일에 있지 않았다. 북한의 도발을 막고자 하는 '한반도 분단 유지' 정책이었다. 유화와 강경 등 방법의 차이였을 뿐이다. 통일이 목적이었다면 북한을 정상국가로 변화시키는 전략을 구사했을 것이며, 결과론적으론 북한에 변화가 있었을 것이다. 인권이 말살되고, 북핵 위험이 존재하는 한, 지금까지의 대북정책은 대실패한 것이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통일을 못한다면 더 이상 현재의 자유와 풍요를 누리지 못한다. 북한은 중국화 되어, 중국 변방의 속국이 될 가능성이 있다. 학자들은 제2의 티베트까지 예측하고 있다. 북한이 점점 가라앉고, 중국은 커져만 가는데 남한이 통일에 관심과 의지가 적다면 큰 문제다. 북한이 중국화 된다면, 38선은 휴전선이 아닌 국경선이 될 것이며, 동해안에 중국배가 다닐 것이다. 이는 일본의 군사적 재무장으로 이어지고, 동북아는 새로운 대립과 갈등으로 냉전 시기가 찾아올지도 모른다. 대한민국이 분단된 3류 국가로 추락할 가능성이 많아지는 것이다."고 말했다.
통일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필요한 노력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현재 외교와 안보부분 잘하고 있다 생각한다. 하지만 통일 시대를 적극적으로 열기 위해서 미국, 중국 등 주변국에게 통일을 향한 의지를 확실하게 전달해야 한다. 동북아를 놓고 각 나라가 전략을 짤 때, 한반도 통일을 동북아 안보와 외교 관계에서 상수로 인식하게끔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에 탈북동포 2만여 명, 재중동포 50만 명이 살고 있다. 북한 동포와 교류하고,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려면 북 동포와 연결되어 있는 남한의 탈북, 재중동포에게 통일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