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반도 통일을 위한 역사교육의 모색 (서울=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5일 오후 서울 중구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한반도선진화재단 주최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역사교육의 모색' 심포지엄이 열리고 있다. 2013.9.5 jihopark@yna.co.kr |
'우편향 논란 교과서' 집필교수 "좌편향 놔두면 '제2의 이석기'" 주장도
(서울=연합뉴스) 신창용 기자 = 보수 성향인 한반도선진화재단과 한국현대사학회가 5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연 '한반도 통일을 위한 역사교육의 모색' 심포지엄은 현행 역사 교과서에 대한 성토 일색이었다.
우편향 논란을 빚은 교학사의 고교 한국사 대표집필자인 권희영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기존 교과서의 좌편향 근거라며 몽양 여운형과 제주 4·3 사건에 대한 서술을 들었다.
권 교수는 "여운형은 스탈린의 선택을 받아 공산주의 국가를 세우고자 했다"며 "소련의 충실한 동맹국이 되려 한 것일 뿐 합리적, 이상적 독립국 건설을 위해 노력했다는 얘기는 지어낸 것"이라고 주장했다.
권 교수는 자신이 집필한 교학사 역사 교과서에선 "일본 시기에 공산당에 가담하였던 여운형"이라는 표현을 썼다.
그는 "남한 단독정부 수립을 막으려 일어난 폭동이 제주 4·3 사건이다. 4·3 진상보고서에도 단독정부 수립을 방해하기 위해 남로당이 일으킨 무장봉기로 기록돼 있다. 그런데도 기존 교과서는 무장봉기 이유를 설명하지 않고 양민학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기존 교과서가 왜곡된 역사관을 심어준다. 그냥 두면 이석기 의원 같은 사태가 또 일어나지 말란 보장이 없다"는 주장도 폈다.
교학사 역사교과서의 또다른 저자인 한국현대사학회 회장 이명희 공주대 교수는 "현대사 서술은 남북한 역사를 병렬 서술하거나 비교해야 한다"며 "북한의 긍정적 성취를 서술하는 동시에 체제 한계도 다뤄 한국의 역사적 정당성과 우위를 확신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영기 고려대 교수는 "북한이 친일청산을 철저히 했다는 신화가 만들어진 것은 선전선동에 당했기 때문"이라며 "북한은 자신들의 친일청산, 반제반봉건혁명을 강조하고 한국의 친일청산 미흡, 미제 식민지, 분단획책 등을 제시했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친일 대 항일' 구도를 '자유민주주의 대 전체주의' 대결로 바꿔야 한다. 자유민주주의가 전체주의보다, 자본주의가 사회주의보다 우월하다는 자긍심을 심어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권정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는 "2000년대 들어 국사 교과서는 용어뿐 아니라 서술에서도 편향성이 노골화됐다. 민중 중심의 민족사 서술과 대한민국 정체성에 문제를 제기하는 서술이 두드러졌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럼에도 교학사 교과서의 우편향 비판은 강하게 제기된 반면 좌파 전체주의에 대한 비판은 눈을 씻고 찾아도 없다"고 말했다.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은 "신라가 고구려·백제보다 무력이나 경제력이 뛰어나지 않았는데도 통일 주체가 된 것은 애국, 호국 정신이 남달라서였다"며 "애국심이 약해지면 통일은 올 수 없는데도 지금 교육은 대한민국 역사를 부정하고 실패한 것으로 규정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이날 토론에서 권희영 교수는 한 참석자로부터 "4·3 사건이 폭동이라는 말이냐? 역사학자로서 분명히 말하라"는 요구를 받자 직접적인 답변은 피한 채 4·3 진상보고서를 읽는 것으로 대신했다.
[기사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