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초등학생에게 ‘이승만 아느냐’고 물었더니 독재자라고 하더라.”
한반도선진화재단이 5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역사교육의 모색’ 세미나에서 박세일 이사장은 역사교육 문제를 언급하며 이같이 지적했다. 참석자들 사이에선 “어이구”, “그거 참”이라는 등 깊은 탄식이 흘러나왔다.
박 이사장은 “현재 전체주의가 역사의 정직성을 거부하고, 역사를 전략전술의 대상으로 쓰는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며 “역사를 부끄러워하는 속에서 나라사랑이 있을 수 없다. 역사를 바로 잡는 노력을 다 같이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한국사 교과서가 ‘편향성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열린 이날 세미나에선 △한반도 통일을 열어가는 역사교육의 새로운 방향 △북한 현대사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이름의 탄생-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근현대사 용어의 문제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전교조, 대안적 통일교육 옹호하며 현행법 위반"
특히 이 자리에선 기존 역사 교과서의 좌편향성과 전교조 교육방향의 문제, 북한현대사 교육 문제 등이 도마에 올랐다.
교학사 역사 교과서의 집필자인 이명희 공주대 교수는 발제에서 ‘통일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대안적통일교육론’자들은 자유민주주의 체제로의 통일을 비판한다”며 “이는 우리 헌법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고, 한국 중심의 통일에 대해 반대 의지를 표명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의 통일교육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1980년대 까지 진행된 반공교육이 무슨 큰 잘못을 저지른 것처럼 몰역사적인 비판을 한다”며 “전교조가 대안적 통일교육을 옹호하고 있고, 이는 현행법을 위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제 이데올로기 교육으로서 통일교육을 넘어 역사교육으로서 통일교육을 본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이는 분단시기 남북한의 역사를 비교하면서 통일의 주도권을 명확히 하는 교육이고, 통일 이후 한국사회의 방향을 예측할 수 있게 하는 교육”이라고 강조했다.
"좌파역사관 '항일-친일' 이분법…북한 친일청산 증거 없어"
조영기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우리는 ‘북한의 친일청산은 매우 철저하게 이뤄졌다. 그래서 북한이 역사적 정통성이 있다’는 것을 정설처럼 받아들이고 있다”며 “하지만 북한에는 명확하게 친일을 청산했다는 증거가 없다. 이는 잘 청산하지 않았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이어 “우리 사회에서 좌파의 역사관이 1980년대 이후 주류의 위치를 점할 수 있었던 것은 항일이라는 감정에 호소했기 때문이지만, 항일만이 역사의 정통성을 판단하는 기준일 수는 없다”며 “국가의 정통성은 ‘항일과 친일’이 아니라 ‘보편적 가치를 소중히 하는 체제인가 아닌가’의 여부”라고 강조했다.
특히 조 교수는 “거짓말을 100번하면 그것이 진실이 된다”며 “하지만 역사의 공인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자유민주주의가 수령독재체제 보다 우월하고, 자본주의시장경제가 사회주의계획경제 보다 효율적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권희영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란 이름이 탄생하게된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며 “두 이름 중 하나는 세계가 부러워하는 이름이 되었고, 다른 하나는 수치의 이름이 되었다”고 꼬집었다.
권 교수는 이어 “대한민국이라는 이름은 가치에 충실한 이름으로 역사를 이어왔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이라는 단어들의 가치를 모조리 배반한 이름만의 국호”라며 “오늘날 우리는 그 이름을 ‘김씨전체주의국’이라고 읽는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전교조를 비롯한 시민단체는 이날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친일-독재를 미화한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의 검정을 취소하라”고 교육부에 촉구했다.[데일리안 = 이충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