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조선일보 공동기획] 제1회 통일포럼 "통일 철학과 전략"
 
2011-03-29 08:13:55


[제 1회 통일포럼] "통일되면 난민 쏟아진다? 이동허가제 하면 해결"

[통일에 관한 10가지 오해와 진실]
"북한을 재개발한다는 투자개념으로 접근하면 통일비용보다 편익이 더 크다"
"통일 땐 4强에 이득 '설득외교'해야"

한반도선진화재단과 조선일보는 25일 '통일 철학과 전략'을 주제로 제1차 '통일 포럼'을 개최했다. 왜 통일이 필요한가? 통일은 어떻게 준비되어야 하나? 통일에 관한 근본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통일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이 차곡차곡 정리됐다. 통일포럼에 동참하는 각 분야 전문가들은 앞으로 격월로 통일에 관한 모든 이슈를 짚어나갈 예정이다.

 


한반도선진화재단과 조선일보가 공동 주최한 제1차 ‘통일 포럼’이 25일
서울 중구 재단 회의실에서 열렸다. 김진현(정면 오른쪽)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건립위원장이 사회를 맡았다. /조인원 기자
join1@chosun.com



①그간 통일 정책이 있었다? 분단관리 정책뿐이었다!


홍성기 아주대
교수는 "보수의 봉쇄정책이나 진보의 화해정책 모두 통일을 위한 북한의 적극적 변화를 목표로 삼지 않았다"면서 "그동안 분단관리 정책만 있었다"고 말했다. 반면 "통일은 예상치 않은 시기에 다가올 것"(박영호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으로 전망됐다. 조건식 전 통일부 차관은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을 통일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②통일비용 너무 크다? 통일이익이 더 크다!

독일 통일이 '비용'에 대한 공포를 가져왔으나 통일과정을 적정수준에서 관리하면 비용도 크지 않고 통일이익이 훨씬 크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조영기 고려대 교수는 "현재 북한은 부실기업이지만 값싼 토지와 풍부한 노동력이란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통일을 '북한 재개발'을 위한 투자 개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반도를 넘어서 주변국과 통일 편익을 논해야 한다"(윤건영 연세대 교수)는 주장도 나왔다.

조각을 떼내면 태극기가 보이기 시작하는 한반도 무늬의 모자이크 보드. 통일은 멀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에게 통일의지가 있을 때 통일은 다가올 수 있다.

③통일은 갈등만 불러온다? 갈수록 더 이질화된다!

김석우 전 통일부 차관은 "분단이 길어지면 동질성 약화로 독일·
오스트리아처럼 1민족 2국가 체제가 고착화할 수도 있다"며 "통일이 빠를수록 이질화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했다. 임현진 서울대 교수는 "독일처럼 (통일 전) 상호 마음의 교류가 있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④대량 난민 쏟아진다? 당분간 이동허가제 필요!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은 "일정 기간 배급제와 이동허가제를 채택하고 현 거주지와 관련한 사유재산권을 인정하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면 대량 탈북 사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에 머물러도 잘살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게 중요하다"(조영기 교수)는 것이다.
 


⑤통일운동 땐 북한이 도발? 북한은 햇볕 때도 도발!

북한 도발은 햇볕정책 때도 계속됐다. 한반도선진화재단에 따르면 북한의 도발은 전두환
정부 16건, 노태우 정부 12건, 김영삼 정부 25건, 김대중 정부 23건, 노무현 정부 17건 등이다. 조건식 전 차관은 "북한 도발보다 통일 논의를 둘러싼 우리 내부의 분열을 더 경계해야 한다"고 했다.

⑥통일 없이 잘살자? 분단지속 땐 국가 축소!

박세일 이사장은 "통일을 피하면 (
중국의 북한에 대한 영향력이 커져) 국경이 사실상 38선 이남으로 줄어들고 국가 축소가 일어난다"고 말했다. 특히 북한이 체제 내부 위기를 외부 도발을 이용해 넘기려 한다면 한반도 위기지수가 치솟아 우리의 선진경제 진입이 어렵게 될 것이란 얘기가 많이 나왔다. 김진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건립위원장은 "중국 군함이 북한의 나선시에서 상하이로 이동하는 길이 열린다면 한반도 주변은 중국 안방이 되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⑦햇볕으로 점진 통일 가능? 북한의 핵능력만 강화!

김석우 전 차관은 "북한의 비핵화와 개혁·개방은 오히려 (햇볕정책과는) 거꾸로 갔다"며 "북한의 변화를 요구하지 않은 대북 지원이 김정일 정권을 강화시켰다는 지적이 있다"고 말했다.

⑧통일외교 있었다? 통일외교 없었다!

김용호 인하대
교수는 "대통령 해외 순방 때 통일부 장관을 대동한 적이 거의 없지 않으냐"며 "통일이 주변국들에 이익이 된다는 것을 적극 설득하는 통일 외교가 부족했다"고 말했다. 이동복 북한민주화포럼 대표는 "북한 붕괴시 중국에 흡수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대중(對中) 통일 외교가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

⑨4强이 통일 방해한다? 우리가 4강 주도해야!

조영기 교수는 "통일은 기본적으로 민족 자결의 문제이기 때문에 주변국들의 개입은 정당성이 약하다"고 말했다. 우리 국력도 주변국이 무시할 정도는 아니다. 김용호 교수는 "4강이 우리 통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뭔지를 구체적으로 정리해 4강 설득을 주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⑩통일은 단순한 통합? 통일은 새로운 국가창조!

홍성필 연세대 교수는 "통일은 남북이 분단 이전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국가를 창조하는 것"이라고 했다. 북한의 민주화·산업화와 우리의 선진화가 동시에 진행될 것이란 얘기다.

또 통일 한국의 등장은 지난 2000년간 중화(中華) 중심이던 동아시아의 수직적 질서를 한·중·일이 정립(鼎立)하는 수평적 질서로 바꿀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됐다.

 

[제 1회 통일포럼] 우리가 보는 '통일'은… 분단 이전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닌
 선진 통일국가를 새로 만드는 것

 


박세일·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한반도는 지금 큰 역사적 갈림길에 서 있다. 하나는 김정일 이후 남북통일에 성공하여 북한, 만주, 연해주 등을 엮는 번영과 평화의 '신동북아시대'를 열 것인가? 그래서 한반도가 21세기 아시아에서 통일된 선진 일류국가로 우뚝 설 것인가? 아니면 통일에 실패하여 북에는 친중국 변방정권(제2의 티베트)이 들어서고, 국경선이 3.8선으로 이동하는 '영토 축소'가 일어날 것인가? 그래서 다시 동북아에 강대국들의 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신냉전시대'를 열 것인가? 이 두 가지 길의 기로에 서 있다. 통일과 선진화의 길인가 아니면 영구 분단과 3류 국가로의 추락인가?

21세기 우리의 통일은 분단 이전으로의 복귀가 아니다. 새로운 '선진 통일국가의 창조'이다. 통일과 선진화 개혁이 함께하는 한반도 선진화를 위한 대대적 '국가 개조'와 '국민정신혁명'을 수반하는 선진 통일이어야 한다. 단순한 재(再)결합(reunification)이 아니라 신(新)통일(new unification)이어야 한다.

어느 민족이든 결단해야 할 때가 있다. 선진 통일의 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의 통일 의지와 단결이다. 신채호 선생께선 역사는 국민의 마음이 만든다고 하셨다. 그리고 이승만 대통령께선 우리 민족의 마음속에 '독립'이란 두 글자를 잊지 않으면 우리는 반드시 독립이 된다고 하셨다. 국민 모두가 한마음 한뜻이 되어 마음속에 '통일'이라는 두 글자를 잊지 않고 단결하면 우리는 반드시 통일을 이룰 수 있다.

이제 지식인, 언론 그리고 국민들이 나서야 한다. 다수의 국민이 합의하고 인류의 보편적 양심이 지지하는 통일철학과 통일전략을 담은 '한반도 통일헌장'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100여명의 전문가들이 '통일포럼'에 모였다. 통일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 토론하여 주기적으로 국민에게 보고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 사회의 '통일정론'을 세우고 올바른 '통일 준비'를 하는 데 앞장설 것이다.



[제 1회 통일포럼] 獨 통일때 동독주민 투표가 큰 역할… 우리도 北주민 마음부터 얻자


"내년 총선·대선 때 각당 통일공약 보고 찍자"

'통일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25일 통일이 언제 닥칠지 모르는 만큼 구체적인 통일 준비를 지금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①'국민통일헌장' 만들자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은 "통일의 가치·철학·원칙·전략 등에 대해 국민 다수가 수용할 수 있는 '국민통일헌장'을 만들어 국내외에 발표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건식 전 통일부 차관은 "현재 젊은 층은 우리 통일정책이 뭔지도 잘 모른다"며 "통일 방안부터 현시대에 맞게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②북한 주민 마음을 얻자

윤영관 서울대 교수는 "남북 모두 유엔에 가입했기 때문에 통일 기회가 왔을 때 주변국들이 '남북은 별개 국가'라는 논리로 통일을 반대할 수 있다"면서 "이때 중요한 것이 북한 주민들의 태도"라고 했다. 동독 주민들의 통일 지지 투표가 통독(統獨)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처럼 남북통일에서도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③각 정당, 통일공약으로 심판받아야

조건식 전 차관은 "내년 총선·대선을 거치면서 대북 정책을 둘러싼 정치 논쟁이 극심해질 가능성이 크다"며 "각 정당이 자신의 통일 방안을 미리 제시한 뒤 국민의 심판을 받도록 하자"고 말했다.


●통일포럼 1차 회의 참석자〈가나다順〉

구해우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 김석우 전 통일부 차관, 김용호 인하대 교수, 김진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건립위원장, 박명규 서울대 교수,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박영호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신도철 숙명여대 교수, 윤건영 연세대 교수, 윤영관 서울대 교수, 이동복 북한민주화포럼 대표, 임현진 서울대 교수, 조건식 전 통일부 차관, 조영기 고려대 교수, 홍성기 아주대 교수, 홍성필 연세대 교수

 

  목록  
번호
제목
날짜
512 [YTN] 현인택, "통일 위한 주변국 지원·합의 필요" 11-04-15
511 [아주경제] 현인택 “北 중요한 전환점 직면” 11-04-15
510 [한국경제TV] 윤증현 "아시아 세계경제 성장 견인할 것" 11-04-15
509 [이데일리] 윤증현 "亞 역내 FTA, 아세안+3 정상회의 논의희망" 11-04-15
508 [아시아투데이] 윤증현 ″아시아가 세계경제 성장 견인″ 11-04-15
507 [mbn] 윤증현 "아시아, 세계경제 성장 견인할 것" 11-04-15
506 [연합뉴스] 윤증현 "亞 세계경제 성장 견인할 것" 11-04-15
505 [조선일보]"한반도 통일, 중국 경제에도 이익" 11-04-12
504 [조선일보] “北정권 최대 위협은 외압이 아닌 내부 불만” 11-04-12
503 [조선일보] 한반도 통일전략과 동북아 공동번영의 비전 : 특별초청연설 11-04-12
502 [조선일보] "통일, 갑자기 찾아올 수도… 미리 준비해야" (방상훈 조선일보 사장) 11-04-12
501 [조선일보] "일정기간 北에 행정·경제특구 설치해야"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 11-04-12
500 [조선일보] "경제에 관심 보이는 김정은 후계자로 인정해야"… "북한엔 덩샤오핑 같.. 11-04-12
499 [조선일보] 세션 3: "아시아판 '나토' 만들고 한·중·일 FTA 체결하자" 11-04-12
498 [조선일보] 세션 2: "北 부품기지로 만들면 통일비용 줄 것" 11-04-12
497 [조선일보] 세션 1: "통일 후 당분간은 남북경제 분리해야" 11-04-12
496 [한국경제] "국정과제 난항은 정부 無전략 탓…국가전략원 만들자" 11-03-29
495 [한국경제 공동기획] '물가,무엇이 문제인가' (2011. 3. 30) 11-03-29
494 [조선일보 공동기획] 제1회 통일포럼 "통일 철학과 전략" 11-03-29
493 [조선일보][제 1회 통일포럼] 우리가 보는 '통일'은… 분단 이전으로 돌아가는 것이 .. 11-03-28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