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서울신문]‘존재감’ 부각시키는 안상수
 
2010-11-04 12:56:54


 

‘존재감’ 부각시키는 안상수
“野 무상급식은 포퓰리즘… 쇠고기파동 與 실책”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가 정치권을 향한 검찰의 전방위 수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야당에도 비판을 이어가는 등 부쩍 존재감을 부각시켜 나가는 모습이다.


2일에는 최근 혼선을 빚고 있는 당의 이념 노선 수정 문제와 관련, ‘개혁적 중도노선을 표방하지만 포퓰리즘은 배격한다.’며 당 대표로서의 입장을 거듭 천명했다.

안 대표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주최로 열린 제1회 한선국가전략포럼 초청강연에서 한나라당의 친서민 복지 정책을 설명하며, “100% 복지 정책을 내세워야 하지만 70% 복지를 강조하는 것은 포퓰리즘으로 나라가 망할까 하는 걱정 때문”이라며 “시장경제원리를 중시하면서도 필요한 부분에선 정부의 역할을 더 강화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안 대표는 지난 정권의 행정수도 이전 및 6·2 지방선거 때 야당의 무상급식 공약 등을 대표적인 포퓰리즘으로 규정했다. 이어 사회의 이념적 지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30년 이상 계속된 전교조의 세뇌교육으로 우리 국민과 청소년들로 하여금 좌파의 정치적 선동에 쉽게 빠져들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안 대표는 통일 문제와 관련, “북한에 급변사태가 일어났을 때 중국에 예속되면 어쩌나 걱정스럽다. 북한이 3대 세습을 이루기 위해 중국과 너무 밀착하는 현상을 걱정하고 있다.”면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북아 공동체를 결성해 중국을 그 일원으로 끌어들여야 하며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을 서둘러 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에 대해서는 “북의 지도력이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그들과 북한 주민을 구분해 인도적 지원을 계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쇠고기파동과 인사 파동 등은 정부 여당의 실책으로 촉발됐다.”면서 “이는 대선과 18대 총선에서 참패한 좌파 진영에 좋은 반격의 빌미가 되었고, 이들의 정치적 선동으로 한나라당이 추진하려던 개혁 정책들이 암초에 부딪혔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 이 글은 2010년 11월 2일 [서울신문] 에 실린 기사입니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472 [서울신문]‘존재감’ 부각시키는 안상수 10-11-04
471 [서울경제] 안상수 한나라 대표 "FTA 통해 동북아 경제동맹 구축을" 강조 10-11-04
470 [문화일보] 안상수 “北 지도세력 마음에 안 들어도 인도적 지원” 10-11-04
469 [세계일보] 안상수, “북한 정권과 주민 분리 대응해야” 10-11-02
468 [조선일보] 안상수 '북한이 마음에 안 들어도 인도적 지원은 계속해야' 10-11-02
467 [헤럴드경제] 안상수 “무상급식ㆍ세종시 이전은 무책임한 포퓰리즘” 10-11-02
466 [연합뉴스] 안상수 "북한주민에 인도적 지원 계속해야" 10-11-02
465 [내일신문] 박세일 ‘큰 꿈’키우나 10-11-02
464 [조선일보] "양보·뒷거래론 남북화해 안돼" 10-11-02
463 [한국일보] YS "남북화해 일방양보·뒷거래 안돼" 10-11-02
462 [한국경제]YS "14대 대선 때 DJ와의 토론, 대처 前총리가 말려" 10-11-02
461 [YTN] 선진화·통일방안 논의 '한선국가전략포럼' 출범 10-11-02
460 [연합뉴스] YS "남북화해, 일방적 양보.뒷거래로 안돼" 10-11-02
459 [한선재단&한국경제 공동기획] G20 정상회의와 환율전쟁 10-10-20
458 [한선재단&한국경제 공동기획] 공정사회, 어떻게 만들 것인가 10-10-07
457 [KTV]한반도 선진화 국가전략포럼 출발 10-10-07
456 [조선일보] '대한민국 선진화 어디까지 왔나' 심포지엄: 한국, R&D 지출·국민소득 .. 10-09-17
455 [한선재단 & 한국경제 공동기획] 대-중소기업 상생 · 협력을 위한 대안 10-08-25
454 [업코리아]안병직 뉴라이트 재단 이사장과 박세일 한선재단 이사장 대담 07-05-14
453 중국의 소프트파워 외교 전개와 그 함의 / 김애경 09-09-29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