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조선일보] '대한민국 선진화 어디까지 왔나' 심포지엄: 한국, R&D 지출·국민소득 점수 높고… 法 공정성 등 낮아
 
2010-09-17 09:51:03


 ['대한민국 선진화 어디까지 왔나' 심포지엄]
한국, R&D 지출·국민소득 점수 높고… 法 공정성 등 낮아


한국, 선진화 지수 31위 경제·문화 부문 올라가고 정치는 정체… 사회 하락스웨덴, 3년 연속 1위


한반도선진화재단은 16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2008년 이후 세 번째로 '대한민국 선진화 어디까지 왔나'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가졌다. 본지가 후원한 이번 심포지엄 개회사에서 박세일 재단이사장은 "한반도 선진화와 통일은 시대의 목표이고 반드시 이루어 내야 할 과제이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정책 개발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했다.

                                          
                                          ▲ 16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반도선진화재단의‘대한민국 선진화 어디까지 왔나’
                                          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이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용하 한국보건사회연구원장, 정갑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장, 현오석 한국개발연구원장, 정재영 한선재단 부이사장, 문휘창 서울대
                                          교수, 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장, 남성욱 국가전략연구소장. /주완중 기자 wjjoo@chosun.com
 

                                          
  
 
  ◆한 단계씩 상승하는 한국의 선진화

  문휘창 서울대 교수가 발표한 '2010 국가선진화지수 연구결과'에 따르면, OEC
  D(경제협력개발기구) 30개국을 포함한 세계 주요 40개국을 대상으로 국가선
  진화지수를 측정한 결과, 우리나라의 종합 순위는 31위로 중하위권이었다. 아
  시아 국가들 중 중국(39위)에 비해선 순위가 높았지만, 홍콩(18위), 일본(21
  위), 싱가포르(22위), 대만(30위) 등에 뒤졌다. 2008년 같은 조사에서 한국은 3
  0위, 2009년엔 29위였으나, 문 교수팀이 올해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 지난 2년
  의 조사결과도 재평가한 결과 한국의 선진화지수는 33위(2008)→32위(2009)
  →31위(2010)로 매년 상승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문 교수는 "시대변화에 맞춰 선진화 수준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정치와
  국제화 분야 등에서 일부 기준을 바꿨다"고 밝혔다. '국가선진화지수(National
  Advancement Index)'는 경제·정치·사회·문화·국제화 등 5개 부문에서 38개의
  세부 평가항목을 취합한 후 100점 만점으로 산출한 점수다. 경제는 소득과 분
  배, 정치는 민주화와 자유화, 사회는 법질서와 삶의 질, 문화는 외국문화 개방
  과 도서 및 영화 생산량, 국제화는 국제 참여와 국제 공헌 등이 주요 지표였다.

  이번 국가선진화 지수 평가에서 1위를 차지한 국가는 스웨덴이다. 3년 연속 1
  위를 지키고 있다. 2위는 노르웨이, 3위는 스위스였다. 4~7위인 룩셈부르크·
  덴마크·핀란드·네덜란드 등 유럽의 강소국(强小國)들은 이전 조사와 비슷하게
  강세를 보였다. 이들이 영국(13위)과 미국(17위) 등에 비해 성적이 좋은 이유
  는 '선진화 지수'가 경제 외에 삶의 질과 국제공헌도, 문화 부문 등을 중요 항목
  으로 평가하기 때문이다.

  ◆경제 분야는 상승, 사회 분야는 하락

  우리나라의 분야별 순위를 지난해와 비교해 보면, 경제(24→19위), 문화(34→2
  8위), 국제화(36→35위)는 상승했지만, 정치(32→32위)는 정체, 사회(26→27
  위)는 하락했다. 경제 분야에선 상대적으로 순위가 높은 R&D 지출(3위)과 국민
  소득 증가지수(12위) 등이 상승을 이끌었지만, 노사분쟁(34위)이 여전히 걸림
  돌이었다. 문화 분야에선 해외 체류 유학생 수(10위)와 영화생산량(11위) 등은
  상위였지만, 일간지 발행부수(35위), 방송국 수(35위) 등은 낮은 순위였다. 정
  치 분야에서는 법의 공정성(27위), 정치적 안정성(32위) 등 대부분 항목이 하위
  권이었다. 사회 분야도 공공질서(26위), 부패인지지수(28위), 사회안전망(35
  위) 등 중하위권인 항목들이 많았다.

  토론자로 나선 한국개발연구원 현오석 원장은 "1980년대 말 이후 정치적 민주
  화, 외환위기 이후 경제·사회적 체질 개선 등으로 개발연대(開發年代)의 부작
  용이 크게 시정된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도 압축성장에 따른 각종 사회·경제적
  폐해가 남아 있다"고 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용하 원장은 "현재 우리나라
  의선진화는 낙관도 비관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경제 및 고용구조의 양극
  화와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 홍영림 기자 ylhong@chosun.com

 

 

 

 

 


국민 다수 "통일 필요하다" 생각하지만 "통일 이익보다 비용이 크다" 걱정

국가정보화전략委長 조사

우리 국민의 다수는 "남북한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면서도 "통일로 얻어지는 이익에 비해 통일과정에서 드는 비용이 더 크다"고 보고 있었다. 통일은 국가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선 이룩해야 할 과제이지만, 당장 개인적으로 감당해야 할 부담이 크다는 점을 염려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반도선진화재단 심포지엄에서 15일 이각범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위원장이 발표한 '선진화와 통일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에 따르면,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필요하다'(79.3%)가 '필요하지 않다'(20.7%)에 비해 훨씬 높았다.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민족 정통성 및 역사성 회복'(35.1%)과 '평화 정착으로 인한 위험 해소'(33.8%)를 주로 꼽았다. 하지만 '통일 이익이 통일 비용보다 크다'는 긍정적 인식은 37.6%에 그친 반면, '통일 이익에 비해 통일 비용이 크다'는 부정적 인식이 61.6%에 달했다.

통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해서는 '북한의 자체적인 체제 붕괴'(32.5%), '개혁·개방 등 북한의 체제 변화'(26.5%), '남북한 간 교류 및 협력 확대'(20.1%), '남북한 간 국력 격차의 심화'(12.8%) 등의 순으로 답했다. 한반도 주변 4개국 중 통일에 가장 도움이 되는 국가는 미국(59.8%),중국(23.5%), 일본(5.8%) 순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주요 분야별 선진화 수준을 100점 만점으로 평가한 결과에서는 문화 분야(62.0점)가 가장 높았고 그 뒤는 경제 분야(61.9점), 국제 분야(60.0점), 사회 분야(57.6점), 정치 분야(47.7점) 등의 순이었다. 한반도선진화재단이 지난해 실시한 조사와 비교하면 모든 분야에서 2~3점가량씩 선진화 평가 점수가 상승했다.
이번 전화조사는 지난달 25일부터 2일간 여론조사전문기관인 메트릭스에 의뢰해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최대 허용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 홍영림 기자 ylhong@chosun.com

 

♤ 이 글은 2010년 9월 17일 [조선일보] A10면에 실린 기사입니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472 [서울신문]‘존재감’ 부각시키는 안상수 10-11-04
471 [서울경제] 안상수 한나라 대표 "FTA 통해 동북아 경제동맹 구축을" 강조 10-11-04
470 [문화일보] 안상수 “北 지도세력 마음에 안 들어도 인도적 지원” 10-11-04
469 [세계일보] 안상수, “북한 정권과 주민 분리 대응해야” 10-11-02
468 [조선일보] 안상수 '북한이 마음에 안 들어도 인도적 지원은 계속해야' 10-11-02
467 [헤럴드경제] 안상수 “무상급식ㆍ세종시 이전은 무책임한 포퓰리즘” 10-11-02
466 [연합뉴스] 안상수 "북한주민에 인도적 지원 계속해야" 10-11-02
465 [내일신문] 박세일 ‘큰 꿈’키우나 10-11-02
464 [조선일보] "양보·뒷거래론 남북화해 안돼" 10-11-02
463 [한국일보] YS "남북화해 일방양보·뒷거래 안돼" 10-11-02
462 [한국경제]YS "14대 대선 때 DJ와의 토론, 대처 前총리가 말려" 10-11-02
461 [YTN] 선진화·통일방안 논의 '한선국가전략포럼' 출범 10-11-02
460 [연합뉴스] YS "남북화해, 일방적 양보.뒷거래로 안돼" 10-11-02
459 [한선재단&한국경제 공동기획] G20 정상회의와 환율전쟁 10-10-20
458 [한선재단&한국경제 공동기획] 공정사회, 어떻게 만들 것인가 10-10-07
457 [KTV]한반도 선진화 국가전략포럼 출발 10-10-07
456 [조선일보] '대한민국 선진화 어디까지 왔나' 심포지엄: 한국, R&D 지출·국민소득 .. 10-09-17
455 [한선재단 & 한국경제 공동기획] 대-중소기업 상생 · 협력을 위한 대안 10-08-25
454 [업코리아]안병직 뉴라이트 재단 이사장과 박세일 한선재단 이사장 대담 07-05-14
453 중국의 소프트파워 외교 전개와 그 함의 / 김애경 09-09-29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