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한국경제] '주주 충실의무' 입법 사례 없다
 
2025-02-05 15:15:35
◆ 최준선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경제질서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작년 121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주재로 상법 개정안 토론회가 열렸다. 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와 관련한 참석자들의 공통된 인식은 합병, 분할과 이중 상장, 포괄적 주식 교환·이전, 자기 주식 취득과 처분, 신주·전환사채 발행, 이익 배당, 신사업 진출, 계열사 지원, 임원 보수, 자산 매각 등 통상적인 이사회 결의에서 총주주의 이익이 침해되지 않아야 하며 만약 일부 주주가 피해를 본다면 이사는 손해배상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제정한 표준이사회 규정상 이사회 결의사항은 총 69, 99개 조문에 이르는데 이들 결의사항을 검토할 때 이사들이 모든 주주의 이익을 도모하라는 것이다.

 

이사가 그 지위를 이용해 자신이나 제3자의 이익을 도모하지 말아야 할 충실의무 원개념을 이처럼 폭넓게 확장해 법제화한 나라는 없다. 필자는 올해 11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심사 제1소위원회가 개최한 상법 개정 공청회에 상법 개정 반대 진술인으로 출석했다. 소위원회 위원장 박범계 의원이 미국 델라웨어주 회사법에 주주에 대한 이사의 충실의무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는가라는 질문에 상법 개정에 찬성하는 두 진술인은 그렇다고 진술했다.

 

그렇지 않다. 델라웨어주 일반회사법 제102(정관에 기재해야 할 사항) (b)(7)호는 이사나 임원이 회사나 주주들에 대한 충실의무(duty of loyalty)를 위반한 경우의 면책을 정관에 규정하더라도 이사나 임원의 손해배상책임을 제한하거나 배제할 수는 없다고 규정한다.

 

이와 비슷한 규정이 한국 상법에도 있다. 즉 제400조 제2항 단서에서 이사의 충실의무 핵심 내용인 경업 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사업기회 유용 금지 의무를 위반한 경우 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을 (정관 규정으로) 감면할 수 없다고 정하고 있다. 미국 50개 주 회사법, 일본, 독일 어디에도 이사회의 모든 결의 관련, 총주주에 대한 이사의 충실의무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

 

다른 입법례로 ‘G20/OECD 기업지배구조 원칙(Principles of Corporate Governance)’ 2G조가 있다는 주장도 있다. G조는 소수 주주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행동하는 지배주주의 또는 지배주주의 이익을 위한 지배주주 (지위) 남용행위(abusive actions)로부터 보호돼야 하며, 효과적인 구제 수단이 마련돼야 한다. (지위) 남용적 자기거래는 금지돼야 한다고 규정한다. 여기서도 충실의무를 직접 규정하지 않고, 본조 코멘트(해설)에서 이사회 구성원의 회사와 모든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를 명확하게 규정할 것을 권고한다. 이사회의 모든 결의가 아니라 지배주주의 남용적 자기거래를 제한하려고 한다.

 

이 원칙은 자본의 이동이 세계 각국으로 확대됨에 따라 글로벌 투자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한 이상적인 모범규준으로서 입법 참고용일 뿐이며, 실제로 이 원칙이 말하는 충실의무를 채택한 국가는 없다. 그런데 한국은 이미 위 ‘G20/OECG 원칙을 도입해 지배주주의 남용적 자기거래를 규제하고 있다. 즉 이사의 충실의무 규정인 상법 제398조에서 주요 주주와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배우자의 직계존비속 등과 회사의 거래를 제한하고, 이사 3분의 2 동의로써만 이를 할 수 있게 했다. 이사가 회사나 전체 주주의 이익이 아니라 주요 주주의 이익만을 도모하는 것도 이미 상법의 충실의무 규정에 위배된다. 상법 개정은 불필요하다. 잘못 손대면 기업가정신을 위축하는 심각한 부작용만 낳는다.



 칼럼 원문은 아래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547 [문화일보] ‘천안함 15년’ 더 절실해진 서해 수호 25-03-26
2546 [매경이코노미스트] AI와 노동개혁 25-03-25
2545 [매일신문] 한덕수 탄핵 심판이 던지는 정치적 함의 25-03-24
2544 [아시아투데이] 왜 북한 정보화인가? 25-03-21
2543 [문화일보] 명확성 요건도 못 갖춘 ‘개정 상법안’ 25-03-20
2542 [한국일보] 기업 밸류업의 지름길, 주식보상制 25-03-19
2541 [한국일보] "중국 소비 확대는 기회…최고급 제품으로 공략해야" 25-03-13
2540 [문화일보] ‘이재명 대세론은 없다’는 국민 여론 25-03-04
2539 [서울신문] 미중외교, 한미동맹 근간으로 하되 국익중심 유연성 확보해야 25-03-04
2538 [매일신문] '진정성 없는 지도자'의 미래는 없다 25-02-26
2537 [한국경제] 세계 선두 차지한 中 배터리…초격차 기술로 맞서야 25-02-26
2536 [한국경제] 주 52시간 획일적 규제 바로잡아야 25-02-24
2535 [문화일보] 가업 상속 외면한 野 개편안은 눈속임 25-02-19
2534 [문화일보] 형소법 무시한 탄핵심판은 국제 망신 25-02-19
2533 [문화일보] 李 ‘말 바꾸기 정치’는 국민 모욕이다 25-02-18
2532 [매일경제] 한국 재도약 위한 사다리 국민은 혁신과 포용 국가는 공정한 제도 25-02-13
2531 [아시아투데이] 점점 산으로 가는 이사의 충실의무 논의 25-02-11
2530 [아시아투데이] ‘여기 살고 싶다’는 북한군 포로 고백의 의미 25-02-06
2529 [한국경제] '주주 충실의무' 입법 사례 없다 25-02-05
2528 [아시아투데이] 헌법재판소가 편향성 시비에서 벗어나기 위한 3가지 급선무 25-02-03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