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헤럴드경제] 한걸음 떼기도 힘든 연금개혁…개혁안 마련 논의 계속해야[해넘기는 개혁과제]
 
2022-12-28 11:05:54
◆ 김원식 건국대학교 경제학 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조화사회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적립금 41년 정점 찍고 57년 고갈 전망
부과 방식 등 대안 논의…세대간 갈등 점화 우려
24년 총선서 국민투표 제안도

26일 정부 등에 따르면 현 재정 상황으로는 지금 수준의 연금 지급이 불가능하다.

통계청의 ‘2021년 생명표’에 따르면 연령별 사망확률을 따를 경우 지난해 태어난 남성의 기대수명은 80.6년, 여성은 86.6년으로 전년 대비 남녀 모두 0.1년 늘면서 증가세를 이어갔다.

처음 국민연금 설계 당시 평균수명을 70세로 잡았으나 평균수명이 늘고 매년 적립금 증가폭이 줄어들면서 ‘개혁’ 수준의 획기적인 개선이 없이는 2039년 적립금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되고 2055년에는 연금 고갈 시점이 될 것이라고 국회 예산정책처(예정처)는 예측했다.

1998년 1차 연금개혁을 통해 2033년까지 단계적으로 65세로 높이고 현재는 62세부터 연금을 수령하고 있다.

한국인들의 평균 퇴직 연령이 55세로, 연금 수령 시기까지 소득 공백기가 계속 늘어나게 되고, 노인 빈곤이 심화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이에 국민연금 수급 연령을 70세로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정년 연장, 더 나아가 정년 폐지가 고령인구의 근로 기간을 늘리는 방안이 보완책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어느 정부도 연금개혁을 단행하기가 쉽지 않다. 정부 교체까지 이어질 수 있는 후폭풍이 거대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특히 신구 세대 간 이해관계가 첨예해 문재인 정부에서도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 개혁안을 마련했지만, 특정 안이 아닌 4가지 선택지를 제시, 4개 안은 경제사회노동위원회를 거쳐 3개로 줄었을 뿐 제도 개혁은 이뤄지지 않았다.

지난 2018년 제4차 국민연금 재정추계에 따르면 기금 규모는 2041년 최고에 도달한 후 급격히 감소해 2057년 바닥을 드러낼 것으로 전망했다.

국민연금법은 정부가 5년마다 재정추계를 내도록 규정하고 있어 윤석열 정부도 곧 제5차 재정추계를 발표할 예정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재정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 10월 제도 개선안을 마련하고 2027년에는 개혁을 실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대부분의 연금 전문가들이 국민연금 재정 상황이 이전에 비해 크게 악화됐을 것으로 추정하며, 2055년으로 예상했던 국민연금 재정 고갈 시기도 최소 1~3년 빨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금 개혁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사회적 공감대가 어느 정도 형성됐지만, 문제는 방향과 방식이다.

쌓아놓은 기금이 모두 없어지면 부과 방식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부과 방식은 해마다 그 해에 필요한 연금 재원을 해당 시기 근로 세대한테 걷어 노년 세대를 지원하는 식이다.

현행 적립식에서 부과 방식으로 바뀌더라도 미래 세대의 부담이 커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기금 고갈로 인해 적립 방식에서 부과 방식으로 바뀐 후 현행 40%의 소득대체율을 지속하려면 보험료율(부과방식 필요보험료율)이 40%에 육박하게 된다.

국민연금재정추계위원회가 저출산 상황을 고려해 합계 출산율 1.05명(2020년 기준)을 적용한 추계에서는 2088년에 보험료율이 37.7%에 달했다.

미래 세대는 사실상 동일한 소득대체율을 적용받는데도 현재 가입자(보험료율 9%)보다 4배가량 보험료를 더 부담하는 셈이다.

학계 등 일각에서는 오는 2024년 총선에서 국민투표 제안도 나오는 상황이다.

국회 예정처가 발간한 예산춘추 68호에서 김원식 건국대 명예교수는 “국민투표를 통해 현재세대와 미래세대간 합의를 공개적으로 도출해야한다"며 "2024년 총선과 함께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김 명예교수는 “개혁 방식을 정치권에 맡겨두는 것은 포퓰리즘만 강화할 것”이라고 비판하며 “국민을 분열시켜 이념 및 세대갈등을 조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민 개개인이 목소리를 내면 사회적 분열이 심화하는 진통이 예상되지만 사회적 합의를 위해 거쳐야 하는 성장통이라는 의미이다.

◆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칼럼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386 [에너지경제] 이연된 경제 침체, 실력을 보여줄 때다 24-01-10
2385 [문화일보] 2024 경제와 ‘공급 중시 정책’의 소환 24-01-10
2384 [파이낸셜투데이] 4월 총선 관전 포인트 24-01-05
2383 [시사저널] 2024년 재정운용, 국회·정부·시장 3중 실패 이겨내야 24-01-02
2382 [한국경제] 플랫폼 규제는 '혁신 죽이기'다 23-12-27
2381 [아시아투데이] ‘기회발전특구제도’가 성공하려면 23-12-22
2380 [파이낸셜투데이] 이준석·이낙연 신당의 정치적 운명은? 23-12-22
2379 [한국경제] 실패한 대북정책 '징비'가 필요하다 23-12-21
2378 [문화일보] 재판 지연 막을 전방위 대책 시급하다 23-12-13
2377 [아시아투데이] 로테크 제품도 경제안보 대상! 23-12-12
2376 [중앙일보] 메가시티 서울, 한반도 개편의 촉매 23-12-11
2375 [파이낸셜투데이] 폭정의 민주당도 총선 심판의 대상이다 23-12-06
2374 [동아일보] 횡재세 추진… 공정성도 신뢰성도 보이질 않는다 23-12-05
2373 [데일리안] 기업구조조정 촉진법 조속히 재입법해야 23-12-05
2372 [시사저널] 새 국정원장, 대통령과 너무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사람으로 23-12-04
2371 [서울경제] 위헌 소지 높은 방송법 개정안 23-11-29
2370 [한국경제] '주주의 비례적 이익'이라는 현혹 23-11-29
2369 [파이낸셜투데이] ‘이준석 신당론’에 대한 단상 23-11-23
2368 [시사저널] 출산 당사자 아닌 관련 기관·업계로 흘러간 저출산 예산 23-11-23
2367 [에너지경제] '메가 서울' 이슈에 뒷전으로 밀리는 지방소멸 대책 23-11-13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