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헤럴드경제] 한걸음 떼기도 힘든 연금개혁…개혁안 마련 논의 계속해야[해넘기는 개혁과제]
 
2022-12-28 11:05:54
◆ 김원식 건국대학교 경제학 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조화사회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적립금 41년 정점 찍고 57년 고갈 전망
부과 방식 등 대안 논의…세대간 갈등 점화 우려
24년 총선서 국민투표 제안도

26일 정부 등에 따르면 현 재정 상황으로는 지금 수준의 연금 지급이 불가능하다.

통계청의 ‘2021년 생명표’에 따르면 연령별 사망확률을 따를 경우 지난해 태어난 남성의 기대수명은 80.6년, 여성은 86.6년으로 전년 대비 남녀 모두 0.1년 늘면서 증가세를 이어갔다.

처음 국민연금 설계 당시 평균수명을 70세로 잡았으나 평균수명이 늘고 매년 적립금 증가폭이 줄어들면서 ‘개혁’ 수준의 획기적인 개선이 없이는 2039년 적립금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되고 2055년에는 연금 고갈 시점이 될 것이라고 국회 예산정책처(예정처)는 예측했다.

1998년 1차 연금개혁을 통해 2033년까지 단계적으로 65세로 높이고 현재는 62세부터 연금을 수령하고 있다.

한국인들의 평균 퇴직 연령이 55세로, 연금 수령 시기까지 소득 공백기가 계속 늘어나게 되고, 노인 빈곤이 심화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이에 국민연금 수급 연령을 70세로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정년 연장, 더 나아가 정년 폐지가 고령인구의 근로 기간을 늘리는 방안이 보완책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어느 정부도 연금개혁을 단행하기가 쉽지 않다. 정부 교체까지 이어질 수 있는 후폭풍이 거대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특히 신구 세대 간 이해관계가 첨예해 문재인 정부에서도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 개혁안을 마련했지만, 특정 안이 아닌 4가지 선택지를 제시, 4개 안은 경제사회노동위원회를 거쳐 3개로 줄었을 뿐 제도 개혁은 이뤄지지 않았다.

지난 2018년 제4차 국민연금 재정추계에 따르면 기금 규모는 2041년 최고에 도달한 후 급격히 감소해 2057년 바닥을 드러낼 것으로 전망했다.

국민연금법은 정부가 5년마다 재정추계를 내도록 규정하고 있어 윤석열 정부도 곧 제5차 재정추계를 발표할 예정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재정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 10월 제도 개선안을 마련하고 2027년에는 개혁을 실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대부분의 연금 전문가들이 국민연금 재정 상황이 이전에 비해 크게 악화됐을 것으로 추정하며, 2055년으로 예상했던 국민연금 재정 고갈 시기도 최소 1~3년 빨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금 개혁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사회적 공감대가 어느 정도 형성됐지만, 문제는 방향과 방식이다.

쌓아놓은 기금이 모두 없어지면 부과 방식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부과 방식은 해마다 그 해에 필요한 연금 재원을 해당 시기 근로 세대한테 걷어 노년 세대를 지원하는 식이다.

현행 적립식에서 부과 방식으로 바뀌더라도 미래 세대의 부담이 커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기금 고갈로 인해 적립 방식에서 부과 방식으로 바뀐 후 현행 40%의 소득대체율을 지속하려면 보험료율(부과방식 필요보험료율)이 40%에 육박하게 된다.

국민연금재정추계위원회가 저출산 상황을 고려해 합계 출산율 1.05명(2020년 기준)을 적용한 추계에서는 2088년에 보험료율이 37.7%에 달했다.

미래 세대는 사실상 동일한 소득대체율을 적용받는데도 현재 가입자(보험료율 9%)보다 4배가량 보험료를 더 부담하는 셈이다.

학계 등 일각에서는 오는 2024년 총선에서 국민투표 제안도 나오는 상황이다.

국회 예정처가 발간한 예산춘추 68호에서 김원식 건국대 명예교수는 “국민투표를 통해 현재세대와 미래세대간 합의를 공개적으로 도출해야한다"며 "2024년 총선과 함께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김 명예교수는 “개혁 방식을 정치권에 맡겨두는 것은 포퓰리즘만 강화할 것”이라고 비판하며 “국민을 분열시켜 이념 및 세대갈등을 조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민 개개인이 목소리를 내면 사회적 분열이 심화하는 진통이 예상되지만 사회적 합의를 위해 거쳐야 하는 성장통이라는 의미이다.

◆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칼럼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405 [파이낸셜투데이] 문제는 리더십과 공천관리다 24-02-26
2404 [세계일보] 부동산PF 부실과 ‘4월 위기설’ 24-02-21
2403 [중앙일보] 개인 존중하는 새 가족주의로 나아가야 24-02-21
2402 [아시아경제] 대통령의 사면(赦免)을 환영한다 24-02-20
2401 [문화일보] 김정은 NLL 위협과 총선 후보 안보관 24-02-16
2400 [아시아투데이] 삼성물산 합병사건 무죄 피고인에 대한 보상은 누가 하나? 24-02-14
2399 [ifs POST] 저출산 정책은 자녀들의 미래가 보이게 해야 한다 - 여야의 공약,누가 .. 24-02-13
2398 [파이낸셜투데이] 위성정당이 가져올 치명적인 정치적 폐해 24-02-13
2397 [월간중앙] 부동산 정책 오해와 진실(12) 빚내서 집 사는 게 어때서? 24-02-08
2396 [문화일보] 삼성 재판, 국가 자해극 멈춰야 한다 24-02-07
2395 [머니투데이] 대한민국 위기, 이미 잃어버린 20년을 지나고 있다 24-02-01
2394 [아시아투데이] DIME 대북통일전략 24-01-31
2393 [아시아투데이] 진실과 정치가 한 지붕 밑에 사는 일은 드문 법 24-01-31
2392 [한국경제] '자사주 마법'이라는 거짓 프레임 24-01-26
2391 [스타뉴스] K-culture의 글로벌화와 과제 24-01-25
2390 [한국경제] 김정은의 위협·협박에 맞설 전략 24-01-22
2389 [신동아] 대만 1인자 오른 ‘광부의 아들’ 여소야대 자갈길 앞에 서다 24-01-18
2388 [파이낸셜투데이] 기형적인 정당 운영 시스템 개혁이 정치 개혁의 본질이다 24-01-18
2387 [동아일보] ‘연장근로 주단위 계산’ 판결이 던진 근로시간 개편 과제 24-01-11
2386 [에너지경제] 이연된 경제 침체, 실력을 보여줄 때다 24-01-1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