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문화일보] ‘빚 탕감’ 도덕적 해이 최소화는 필수
 
2022-07-18 17:44:59
◆ 칼럼을 기고한 강성진 교수는 현재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의장 겸 국가전략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입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한국은행이 지난 13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했으나, 이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 물가상승률이 예상 밖으로 높고 상당 기간 계속될 전망인 데다, 미국도 계속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기 때문이다. 1년 전에 비해 6.0% 오른 지난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외환위기 때이던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로, 무려 23년11개월 만이다. 미국도 지난 6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년 전보다 9.1% 올랐는데 41년 만에 최대다. 당연히 미국은 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다.

좀처럼 진정될 것 같지 않은 물가 상승 압력에 경기침체를 감수하면서라도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정부는 금리 상승에 따른 민간의 금융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125조 원+α’에 이르는 민생안정금융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주요 특징을 보면, 정부는 민간 금융기관과 공동으로 정책에 의한 부담을 공유한다. 그리고 금리 부담 완화와 부채 상환기간 조정에 특정 계층에 대한 ‘빚 탕감’ 대책이 추가됐다.

금융 당국은 이 정책이 신용불량자나 실업자로 전락하는 것을 사전 방지하는 선제적 정책이라고 주장한다. 물론 정부가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앞으로 직면하게 될 다양한 금융 위험을 예방하려는 데는 모두 공감할 것이다. 하지만 세부 정책을 보면 정부의 경제철학에 대한 의문과 ‘도덕적 해이’ 및 ‘형평성’에 대한 우려가 있는 건 사실이다.

먼저 ‘새출발기금’에서 볼 수 있듯이, 9월 말까지 만기 연장·상환유예가 만료되더라도 대상 채무의 90∼95%를 연장해 주는 ‘주거래 금융기관 책임관리’나 대상이 아닌 차주에 대한 대출을 민간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연장토록 하고 있다. 전형적인 관치금융을 행하는 나라에서 민간 금융 자율로 둔다는 발표는 실질적인 강요다. ‘민간 주도’와 ‘자유시장경제’를 주장하는 윤석열 정부의 경제철학에 의문이 갈 수밖에 없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한국은행이 지난 13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했으나, 이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 물가상승률이 예상 밖으로 높고 상당 기간 계속될 전망인 데다, 미국도 계속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기 때문이다. 1년 전에 비해 6.0% 오른 지난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외환위기 때이던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로, 무려 23년11개월 만이다. 미국도 지난 6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년 전보다 9.1% 올랐는데 41년 만에 최대다. 당연히 미국은 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다.

좀처럼 진정될 것 같지 않은 물가 상승 압력에 경기침체를 감수하면서라도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정부는 금리 상승에 따른 민간의 금융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125조 원+α’에 이르는 민생안정금융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주요 특징을 보면, 정부는 민간 금융기관과 공동으로 정책에 의한 부담을 공유한다. 그리고 금리 부담 완화와 부채 상환기간 조정에 특정 계층에 대한 ‘빚 탕감’ 대책이 추가됐다.

금융 당국은 이 정책이 신용불량자나 실업자로 전락하는 것을 사전 방지하는 선제적 정책이라고 주장한다. 물론 정부가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앞으로 직면하게 될 다양한 금융 위험을 예방하려는 데는 모두 공감할 것이다. 하지만 세부 정책을 보면 정부의 경제철학에 대한 의문과 ‘도덕적 해이’ 및 ‘형평성’에 대한 우려가 있는 건 사실이다.

먼저 ‘새출발기금’에서 볼 수 있듯이, 9월 말까지 만기 연장·상환유예가 만료되더라도 대상 채무의 90∼95%를 연장해 주는 ‘주거래 금융기관 책임관리’나 대상이 아닌 차주에 대한 대출을 민간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연장토록 하고 있다. 전형적인 관치금융을 행하는 나라에서 민간 금융 자율로 둔다는 발표는 실질적인 강요다. ‘민간 주도’와 ‘자유시장경제’를 주장하는 윤석열 정부의 경제철학에 의문이 갈 수밖에 없다.

◆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칼럼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364 [문화일보] 과도한 ‘1인 시위’ 적절한 규제 필요성 23-10-30
2363 [문화일보] ‘박유하 무죄’와 친일몰이 광풍 시정 23-10-30
2362 [동아일보] 새 대입제도, 교육개혁 성과의 시발점 돼야 23-10-27
2361 [아시아투데이] 이스라엘의 국가 수호 결기, ‘자강(自强) 기반 동맹’의 중요성 23-10-26
2360 [ifs POST] 재정으로 본 미국의 야당과 한국의 야당 23-10-20
2359 [파이낸셜투데이] ‘총선 불변의 법칙’이 지배하는 선거 23-10-18
2358 [한국경제] '동일인 의무' 법인에 지우는 게 맞다 23-10-17
2357 [머니투데이] 한국 주식시장 저평가, 복수의결권으로 해결해야 23-10-12
2356 [문화일보] 중동 불안… 전기료 정상화 더 급해졌다 23-10-12
2355 [아시아투데이] 좌파 포퓰리즘과 결별해야 미래가 있다 23-10-11
2354 [한국경제] 핵협의그룹 '플랜 B'가 필요하다 23-10-10
2353 [파이낸셜투데이] ‘행동하는 민생’이 정답이다 23-10-04
2352 [한국경제] '중대재해처벌법' 폐지하자 23-09-27
2351 [아시아투데이] NPT 체제의 이중 잣대 23-09-27
2350 [동아일보] 정체된 연금개혁, 노동개혁과 함께 풀어야 한다 23-09-19
2349 [문화일보] 정율성·홍범도 논란과 국가 정체성 위기 23-09-15
2348 [문화일보] 유가發 인플레 대응책도 혁신 강화 23-09-12
2347 [문화일보] 다가오는 총선…가짜뉴스 엄단 필수다 23-09-11
2346 [파이낸셜투데이] 총선은 절박함과 새로움의 싸움이다 23-09-06
2345 [한국경제] 왜 자사주 소각에 인센티브 주려는가 23-09-01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