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문화일보] ‘빚 탕감’ 도덕적 해이 최소화는 필수
 
2022-07-18 17:44:59
◆ 칼럼을 기고한 강성진 교수는 현재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의장 겸 국가전략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입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한국은행이 지난 13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했으나, 이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 물가상승률이 예상 밖으로 높고 상당 기간 계속될 전망인 데다, 미국도 계속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기 때문이다. 1년 전에 비해 6.0% 오른 지난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외환위기 때이던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로, 무려 23년11개월 만이다. 미국도 지난 6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년 전보다 9.1% 올랐는데 41년 만에 최대다. 당연히 미국은 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다.

좀처럼 진정될 것 같지 않은 물가 상승 압력에 경기침체를 감수하면서라도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정부는 금리 상승에 따른 민간의 금융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125조 원+α’에 이르는 민생안정금융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주요 특징을 보면, 정부는 민간 금융기관과 공동으로 정책에 의한 부담을 공유한다. 그리고 금리 부담 완화와 부채 상환기간 조정에 특정 계층에 대한 ‘빚 탕감’ 대책이 추가됐다.

금융 당국은 이 정책이 신용불량자나 실업자로 전락하는 것을 사전 방지하는 선제적 정책이라고 주장한다. 물론 정부가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앞으로 직면하게 될 다양한 금융 위험을 예방하려는 데는 모두 공감할 것이다. 하지만 세부 정책을 보면 정부의 경제철학에 대한 의문과 ‘도덕적 해이’ 및 ‘형평성’에 대한 우려가 있는 건 사실이다.

먼저 ‘새출발기금’에서 볼 수 있듯이, 9월 말까지 만기 연장·상환유예가 만료되더라도 대상 채무의 90∼95%를 연장해 주는 ‘주거래 금융기관 책임관리’나 대상이 아닌 차주에 대한 대출을 민간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연장토록 하고 있다. 전형적인 관치금융을 행하는 나라에서 민간 금융 자율로 둔다는 발표는 실질적인 강요다. ‘민간 주도’와 ‘자유시장경제’를 주장하는 윤석열 정부의 경제철학에 의문이 갈 수밖에 없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한국은행이 지난 13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했으나, 이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 물가상승률이 예상 밖으로 높고 상당 기간 계속될 전망인 데다, 미국도 계속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기 때문이다. 1년 전에 비해 6.0% 오른 지난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외환위기 때이던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로, 무려 23년11개월 만이다. 미국도 지난 6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년 전보다 9.1% 올랐는데 41년 만에 최대다. 당연히 미국은 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다.

좀처럼 진정될 것 같지 않은 물가 상승 압력에 경기침체를 감수하면서라도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정부는 금리 상승에 따른 민간의 금융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125조 원+α’에 이르는 민생안정금융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주요 특징을 보면, 정부는 민간 금융기관과 공동으로 정책에 의한 부담을 공유한다. 그리고 금리 부담 완화와 부채 상환기간 조정에 특정 계층에 대한 ‘빚 탕감’ 대책이 추가됐다.

금융 당국은 이 정책이 신용불량자나 실업자로 전락하는 것을 사전 방지하는 선제적 정책이라고 주장한다. 물론 정부가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앞으로 직면하게 될 다양한 금융 위험을 예방하려는 데는 모두 공감할 것이다. 하지만 세부 정책을 보면 정부의 경제철학에 대한 의문과 ‘도덕적 해이’ 및 ‘형평성’에 대한 우려가 있는 건 사실이다.

먼저 ‘새출발기금’에서 볼 수 있듯이, 9월 말까지 만기 연장·상환유예가 만료되더라도 대상 채무의 90∼95%를 연장해 주는 ‘주거래 금융기관 책임관리’나 대상이 아닌 차주에 대한 대출을 민간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연장토록 하고 있다. 전형적인 관치금융을 행하는 나라에서 민간 금융 자율로 둔다는 발표는 실질적인 강요다. ‘민간 주도’와 ‘자유시장경제’를 주장하는 윤석열 정부의 경제철학에 의문이 갈 수밖에 없다.

◆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칼럼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426 [아시아투데이] 우수한 ‘지배구조’ 가늠할 ‘기준’ 과연 타당한가? 24-04-19
2425 [파이낸셜투데이] 영수 회담을 통한 ‘민생 협치’를 기대한다 24-04-18
2424 [문화일보] 흔들려선 안 될 ‘신속한 재판’ 원칙 24-04-16
2423 [파이낸셜투데이] 민주 시민이 지켜야 할 투표 원칙 24-04-04
2422 [아시아투데이] 경제악법 누가 만들었나 따져보고 투표하자 24-04-03
2421 [중앙일보] 헌법 가치에 기반한 ‘새 통일방안’ 제시하길 24-04-02
2420 [시사저널] 1인당 25만원? 중국에 “셰셰”? 이재명의 위험한 총선 공약 24-04-01
2419 [아시아투데이] 서해수호의 날이 주는 교훈 24-03-26
2418 [문화일보] 선거용 가짜뉴스犯 처벌 강화 급하다 24-03-25
2417 [월간중앙] 부동산 정책 오해와 진실 (13) 24-03-22
2416 [파이낸셜투데이] 대한민국 정당들이여, 어디로 가려고 하나? 24-03-21
2415 [문화일보] 기업 목 죄는 ESG 공시… 자율화·인센티브 제공이 바람직 24-03-20
2414 [한국경제] 노조 회계공시, 투명성 강화를 위한 시대적 요구다 24-03-19
2413 [에너지경제] ‘규제 개선’ 빠진 기업 밸류업 지원정책 24-03-11
2412 [브레이크뉴스] 한반도에서 곧 전쟁이 터질 것인가? 24-03-11
2411 [파이낸셜투데이] 정당정치의 퇴행을 누가 막아야 하나? 24-03-07
2410 [아시아투데이] 반(反)대한민국 세력 국회 입성 차단해야 24-02-29
2409 [문화일보] ‘건국전쟁’이 일깨운 정치개혁 과제 24-02-29
2408 [한국경제] 자유통일이 3·1 독립정신 이어가는 것 24-02-27
2407 [중앙일보] 저출산 대책, 부총리급 기구가 필요하다 24-02-26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