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이데일리] [만났습니다] ②"조직 디지털화 등 기업들도 변해야"
 
2020-10-20 09:55:41

"코로나 위기이자 기회, 선제 대응하면 한 단계 도약 가능"
"비대면 최적화된 IT혁신기술 등 조직에 도입 필요"
"정부, 실효성있는 리쇼어링 정책 등으로 뒷받침해야"


[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최준선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조직의 디지털화 등 기업들도 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준선 교수는 “코로나19는 인간 생활 자체에 위기 의식을 가져왔다”며 “그러나 누구에게는 위기가 기회가 됩니다. 선제적으로 준비하는 기업은 이 사태로 인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다”고 밝혔다.

최 교수는 업무를 재정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다. 그는 “업무란 기술과 사람의 협업으로 재정의돼야 한다”며 “그렇게 하려면 조직의 디지털화를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업무혁신전략을 재정비해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성을 갖춰야 한다”며 “변하지 않는 단 한가지 사실은 모든 것이 변한다는 사실”이라고 전했다.


이어 “비대면·접촉 환경 아래 기업은 업무와 직무에 최적화된 정보기술(IT) 혁신 기술을 도입해 조직은 민첩해지고 직원들은 더욱 밀접하게 연결되고 소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 교수는 보호무역과 글로벌 공급체인의 붕괴가 예상되는 기업들은 국내 공급망을 확대·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실효성 있는 리쇼어링(Reshoring·본국 회귀) 정책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정부는 리쇼어링 기업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 초 코로나19 기업애로 해소와 수출 지원 대책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하면서 유턴기업에 대한 파격적인 지원 패키지를 포함시킨데 이어 지난 6월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서 리쇼어링 기업 유치 확대를 위한 지원방안을 내놨다. 하지만 재계에서는 유인 요인이 부족하다는 목소리도 나오는 실정이다.

그는 “우리나라는 2013년 12월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리쇼어링 정책을 적극 추진했다”며 “하지만 2014년부터 현재까지 복귀한 기업이 74개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며 “대상 기업과 세제 지원 확대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전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해외 사업장을 국내로 이전하거나 해외 생산량을 감축하는 경우에만 리쇼어링 기업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해외 주요국가들은 우리나라와 달리 리쇼어링 기업 범위가 넓다. 해외인(In)·아웃소싱(Out sourcing)의 복귀 등을 통해 자국 내 생산증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경우를 모두 포함해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소싱이란 전통적인 방법으로 조직의 계통과 체계를 통해 서비스와 기능을 직접 전달하는 경제활동 방식을 말한다. 아웃소싱은 부품 조달을 비롯한 사업의 일부 또는 많은 부분을 외부에 위탁하는 방식이다.


◆ 기사 원문은 아래 [기사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 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1929 [주간동아] “한국 GDP의 2.3배인 독일, 정책변경 후 1조 손실 내도 유권자가 응징한.. 20-12-03
1928 [스카이데일리] 한국외교는 ‘안미경중(安美經中)’이 해답이다 20-12-02
1927 [문화일보] “文의 침묵·불통이 레임덕 앞당길 것” 20-12-01
1926 [헤럴드경제] 11월에만 3번 '탄소제로' 회의…코로나에도 맘만 급한 정부 20-12-01
1925 [한국경제] "감사 자리 뺏길 바엔"…기업들, 자회사 합병후 상장폐지 '도미노' 20-12-01
1924 [HelloDD] 원자력진흥위 사표 던졌던 손양훈 "과학에 정치가 개입" 20-11-30
1923 [DAILY NK] 기업소법 개정…추락하는 북한 경제에 성장동력으로 작용? 20-11-27
1922 [헤럴드경제] 준비 미흡한데 2050년 탄소제로 정부 나홀로 '속도전' 20-11-27
1921 [조선일보] 터 잡아놓은 신한울 3·4호기 ‘백지화 대못’ 20-11-27
1920 [서울신문] 법정 간 ‘항공 빅딜’… “생존 자금 지원” vs “경영권 방어용” 20-11-26
1919 [문화일보] 국민의힘 “文대통령, 법치주의 파괴한 秋장관 해임 조치하라” 20-11-26
1918 [서울경제] 최준선 교수 "3%룰, 소수주주 권익 아닌 투기자본 보호로 변질될 것" 20-11-25
1917 [중앙일보] 4월, 9월…12월 또? 소비 빙하기 ‘트리플딥’ 위기 20-11-24
1916 [매일경제] "대주주 의결권 0% 제약…전세계 어디에도 없다" 20-11-23
1915 [한국경제] "태양광·풍력 의존 땐 100조원 더 들어…脫원전 수정해야" 20-11-23
1914 [스카이데일리] 中 대국굴기 이면엔 세계인 땀·영혼 빼앗는 치졸한 약탈 야욕 20-11-23
1913 [에너지경제] 한전은 흑자인데...민간발전사는 ‘곡소리’ 20-11-20
1912 [아시아타임즈] 이스라엘-이탈리아 '3% 룰' 적용은 '거짓'…민주당도 '재검토' 20-11-20
1911 [머니투데이] "기업가 정신 죽이는 상속세, 100년 기업 나오게 개선" 20-11-20
1910 [한국일보] “2050년 '탄소 중립' 무리없이 실현하려면 원전 감축 속도 조절해야" 20-11-2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